2025년 04월 20일 일요일

  • 서울 23℃

  • 인천 21℃

  • 백령 9℃

  • 춘천 26℃

  • 강릉 22℃

  • 청주 28℃

  • 수원 24℃

  • 안동 25℃

  • 울릉도 14℃

  • 독도 14℃

  • 대전 27℃

  • 전주 28℃

  • 광주 26℃

  • 목포 19℃

  • 여수 18℃

  • 대구 24℃

  • 울산 21℃

  • 창원 20℃

  • 부산 18℃

  • 제주 17℃

IT 공공시장 진출한 AWS "물리적 망분리 조건도 완화해야"

IT IT일반

공공시장 진출한 AWS "물리적 망분리 조건도 완화해야"

등록 2025.04.18 16:16

김세현

  기자

공유

CSAP '하' 등급 인증 획득···"감사히 생각해"윤정원 대표 "향후 논리적 망분리 늘어날 것"헬스케어·교육 분야 집중···"협력 프레임 넓혀야"

AWS(아마존웹서비스)가 18일 서울 역삼동 AWS 코리아 사무실에서 공공부문 관련 간담회를 진행했다. 사진=김세현 기자AWS(아마존웹서비스)가 18일 서울 역삼동 AWS 코리아 사무실에서 공공부문 관련 간담회를 진행했다. 사진=김세현 기자

AWS(아마존웹서비스)가 국내 공공 클라우드 시장에 본격 입성하는 가운데, 앞으로 우리나라도 미국과 영국처럼 보안 인증제도 상위 요건인 '물리적 망분리' 조건을 완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경우 AWS의 공공 프로젝트 참여 폭이 더 넓어질 수 있다.

윤정원 AWS 코리아 공공부문 대표는 18일 오전 서울 강남구 AWS 코리아 오피스에서 진행된 'AWS 공공부문 기자간담회'에서 "글로벌 트렌드도 그렇고, 망을 (물리적으로) 분리해서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앱)은 줄어들고 있다"면서 이렇게 강조했다.

윤 대표는 외국 정부의 사례에 빗대 설명했다. 그는 "미국 국방부에서도 논리적 망분리의 안전함을 이야기하는 보고서가 이미 나왔고, 영국 정부에서도 모든 데이터의 90%는 오픈해야 될 데이터라고 밝힌 바 있다"고 말했다.

이어 "궁극적으로 물리적 망분리에서 논리적 망분리로 늘어갈 수밖에 없고, 규제가 가장 강한 금융·의료 등 분야에서도 오픈 데이터 활용 방향으로 변화 중"이라며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논리적 망분리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AWS는 지난 1일 CSAP(클라우드 서비스 보안인증제) '하' 등급을 획득해 국내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CSAP는 클라우드 사업자가 국가나 공공기관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획득해야 한다.

그러나 하 등급은 개인정보와 같은 민감한 정보가 없는 공개 데이터 운영 시스템에서만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나머지 상위 두 개 등급은 아직 물리적 망분리 조건을 적용 중이라, 해외에 서버를 둔 외산 클라우드 기업은 해당 등급을 획득할 수 없다.

이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할 범위도 한정된다는 뜻이라, 윤 대표의 이번 주장은 '앞으로 외국 기업들에 공공 분야 빗장을 더 열어 달라'는 의미로 해석됐다.

AWS 보안 능력은 최고 수준이라는 점도 강조했다. 윤 대표는 "AWS는 CSAP 인증을 포함해 전세계 230개 이상의 보안 규정과 규제를 준수하고 있다"며 "해외 진출 기업이나 공공기관, 단체 등은 AWS를 사용함으로써 230개 이상의 보안 규정이나 규제를 준수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고 말했다.

AWS는 이날 공공부문·교육·헬스케어 등 세 가지 분야 사업 전략을 그간의 사례를 들어 설명했다. AWS 클라우드 기반 지능형 데이터 분석 플랫폼을 도입해 대학 데이터를 통합한 서울여대를 비롯해 ▲AWS와 비즈니스 플랫폼 분야 교육 과정을 운영 중인 천안여자상업고 ▲AWS 서비스를 활용해 의료 빅데이터 플랫폼을 개발한 연세의료원 등이 거론됐다.

또 이날 행사에 참석한 김성훈 업스테이지 대표, 김광수 서울대병원 융합의학기술원 교수, 정권호 제이앤피메디 대표와 함께 추진한 사업들을 소개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