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선 CEO와 1박 2일 VCM 전략회의서 긴급 진단중장기 생존 위한 본질적 변화 주문유통·화학·식품 각 부문 변화 촉진
16일부터 17일까지 진행된 이번 회의는 그룹 최초 1박 2일 일정으로, 주요 계열사 CEO 전원이 참석한 가운데 사실상 '긴급 진단'에 가까운 분위기로 진행됐다. 신 회장은 "변화에 대한 감도가 느슨하면, 위기는 조용히 내부부터 무너뜨린다"며, "선제적 대응은 이제 선택이 아니라 생존의 조건"이라고 강조했다.
상반기 실적에 대한 냉정한 평가도 이어졌다. 신 회장은 "수치만 봐도 알 수 있다. 현재 실적은 위기 신호를 보내고 있다"며 "핵심 사업군의 체질을 지금 바꾸지 않으면 회복은 점점 더 어려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본원적 경쟁력'이라는 단어를 반복하며, 단기 실적 개선이 아닌 중장기 경쟁력 회복에 집중해 줄 것을 요청했다.
신 회장이 이번에 제시한 경영방침은 세 가지다. ▲브랜드 가치 제고 ▲사업군별 전략 추진 가속화 ▲생산성 향상. 모두 실행력과 직결된 항목이다. 그는 브랜드를 "롯데 사업 경쟁력의 근간"으로 정의하며, "축적된 브랜드 자산을 단순한 마케팅이 아닌, 사업구조 전반의 무기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사업군별로는 뚜렷한 지침이 내려졌다. 화학 부문은 체질 개선의 속도를 높이고, 식품 부문은 핵심 제품군의 브랜드 집중도를 높일 것, 유통 부문은 고객 니즈에 대한 정밀한 대응 전략을 구축하는 것이 핵심이다. 특히 유통 부문에 대해서는 "고객에 대한 직감이 무뎌졌다면, 지금이 그 감각을 되살릴 마지막 시점"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PEST' 분석 프레임(정치·경제·사회·기술 변화)을 거론하며 "CEO라면 5년, 10년 뒤를 내다보고 지금과 3년 후에 해야 할 일을 병렬적으로 실행할 수 있어야 한다"고 했다. "미래를 읽는 데 실패하면, 현재의 전략은 무의미하다"며, 인재 확보와 기술 인프라 강화를 병행해줄 것도 당부했다.
신 회장은 조직문화를 언급하며 "도전하는 분위기가 있어야 혁신이 산다"고 밝혔다. 특히 AI 기반 업무혁신을 강조하며, "기술은 도구가 아니라 경쟁력"이라고 했다. 성과 중심 인사제도 정착과 직무 전문성 강화도 함께 요청했다.
끝으로 신 회장은 "본업에서의 혁신 없이 살아남을 수 있는 시대는 끝났다"며 "실패하더라도 시도하지 않는 것보다 낫다. 모든 변화의 시작은 지금 이 자리"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룹의 미래를 위해 저와 함께 앞장서 달라"고 말하며 회의를 마무리했다.

뉴스웨이 조효정 기자
queen@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