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GS건설, 송파·성수 재건축 수주전 '독주' 기류

부동산 건설사

GS건설, 송파·성수 재건축 수주전 '독주' 기류

등록 2025.11.12 15:05

주현철

  기자

성수1지구 '혐의 없음' 종결로 판도 변화송파한양2차 HDC현산 보이콧 지속

서울 성동구 성수동 성수전략정비구역 위치도. 사진=서울시 제공서울 성동구 성수동 성수전략정비구역 위치도. 사진=서울시 제공

서울 주요 재건축 단지인 성수1지구와 송파한양2차 시공사 선정 과정에서 GS건설이 유리한 위치를 선점했다. 입찰 지침 논란과 내부 갈등, 법적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조합과 서울시의 '혐의 없음' 판단이 GS건설의 입지를 강화한 모습이다. 다만 사업 일정 지연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어 업계는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ai 아이콘 AI한입뉴스

OpenAI의 기술을 활용해 기사를 한 입 크기로 간결하게 요약합니다.

전체 기사를 읽지 않아도 요약만으로 핵심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Quick Point!

성수1지구와 송파한양2차 등 서울 핵심 재건축 단지 시공사 선정에서 GS건설이 유리한 위치 선점

입찰 지침 논란과 내부 갈등에도 조합과 서울시의 '혐의 없음' 판단으로 입지 강화

사업 일정 지연 가능성은 여전

현재 상황은

성수1지구, 현대건설·HDC현산 등 3파전 예상

입찰 지침 완화와 '혐의 없음' 결론으로 논란 일단락

송파한양2차도 국토부·서울시 기준 검토 결과 위반 소지 없음 판단

숫자 읽기

성수1지구 총 공사비 약 2조원, 한강변 대단지로 동북권 랜드마크 기대

송파한양2차 지하 4층~지상 29층, 1346가구, 예정 공사비 약 6800억원

맥락 읽기

입찰지침 논란 장기화로 사업 일정 지연 우려

조합 내부 의사결정 불안정성과 외부 감사·감독 리스크 상존

시공사 선정 결과가 서울 정비시장 판도에 영향

12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서울시는 성수1지구 조합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진행한 결과 조합과 건설사 간 유착·대의원 회유 의혹 모두 '혐의 없음'으로 결론지었다. 이에 따라 GS건설, 현대건설, HDC현대산업개발 등 3파전 구도가 예상되지만 조합 내 입찰 조건과 내부 의견 조율은 계속 진행 중이다.

성수1지구 조합은 당초 ▲조합원 로열층 우선 분양 금지 ▲대안 설계 추가 제안 금지 ▲추가 이주비 담보 인정비율 제한 등 입찰 지침을 내세웠다. 현대건설과 HDC현산은 이 조건이 경쟁력을 제한한다며 불참 의사를 밝혔고 조합은 지침 재검토에 들어갔다. 이후 입찰 지침이 완화되고 서울시 조사 결과가 '혐의 없음'으로 나오면서 논란은 일단락됐다. 업계에서는 GS건설이 지역 기반을 다진 만큼 유리한 위치를 확보했다고 평가한다.

GS건설 관계자는 "입찰 자체가 아직 진행되지 않아 재입찰이라기보다는 새로운 입찰 일정을 기다리고 있는 중"이라며 "성수1지구는 핵심 영업 사업지 중 하나로 적극 참여를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성수1지구는 한강변 입지에 총 공사비 약 2조원 규모의 대단지 사업으로, 완공 시 동북권 랜드마크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송파한양2차 전경(사진=업계 제공)송파한양2차 전경(사진=업계 제공)

송파한양2차 재건축 사업도 유사한 흐름을 보인다. 지난 1차 입찰에서 HDC현산이 GS건설의 '입찰 지침 위반'을 문제 삼으며 참여를 보이콧했으나, 조합은 국토부와 서울시 기준 검토 결과 위반 소지가 없다고 판단했다. 재입찰은 내달 9일 마감 예정으로 HDC현산을 포함한 복수 건설사의 참여 가능성이 거론된다. 송파한양2차는 지하 4층~지상 29층, 1346가구 규모로 예정 공사비는 약 6800억원이다.

두 단지 모두 입지와 규모 면에서 '서울 핵심 재건축 사업지'로 꼽히는 만큼 시공사 선정 결과는 향후 정비시장 판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다만 입찰지침 논란이 장기화되면서 사업 일정이 늦춰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조합 내부 의사결정 구조의 불안정성과 외부 감사·감독 리스크가 남아 있기 때문이다.

정비업계 관계자는 "입찰 경쟁 구도가 좁혀진 상황에서 GS건설이 상대적으로 앞서 있지만, 재건축 사업은 시공사 선정 이후에도 이주·분양·금융 등 복잡한 이해관계가 이어진다"며 "이번 수주전은 얼마나 안정적인 추진력을 확보하느냐가 관건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