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4월 03일 목요일

  • 서울 8℃

  • 인천 5℃

  • 백령 5℃

  • 춘천 6℃

  • 강릉 4℃

  • 청주 8℃

  • 수원 6℃

  • 안동 6℃

  • 울릉도 6℃

  • 독도 6℃

  • 대전 8℃

  • 전주 8℃

  • 광주 7℃

  • 목포 7℃

  • 여수 9℃

  • 대구 8℃

  • 울산 6℃

  • 창원 8℃

  • 부산 7℃

  • 제주 7℃

국가채무 검색결과

[총 41건 검색]

상세검색

국가채무 1109조···지난해 11월까지 나라살림 64조 적자

일반

국가채무 1109조···지난해 11월까지 나라살림 64조 적자

지난해 11월 말 기준 국가채무가 전달보다 4조원 늘며 1110조원에 육박했다. 나라 살림을 보여주는 관리재정수지는 전달보다 악화한 64조9000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11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1월 재정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11월 말까지 정부 총수입은 529조2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국세·세외수입 감소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42조4000억원 줄어들었다. 이중 국세 수입은 324조2000억원으로 소득세·법인세·부가가치세 등을 중심으로 49조4000억원 줄

나라살림 적자 5.1→2.6%···국가채무비율 49.8%

[2023예산안]나라살림 적자 5.1→2.6%···국가채무비율 49.8%

정부가 건전재정 기조로 내년 예산안을 편성하면서 나라살림 적자 규모가 올해(2차 추가경정예산 기준)의 절반 수준으로 줄어들 전망이다. 내년 국가채무 증가 폭은 4년 만에 100조원 아래로 내려간다. 2023∼2026년 관리재정수지 적자 비율은 2%대 중반을 유지하고 국가채무비율도 50%대 초반을 유지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30일 발표한 2023년도 예산안에서 내년 국세수입을 비롯한 총수입이 625조9000억원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본예산보다 13.1%, 2차 추가

2차추경 여파 나라살림 적자 71조원···국가채무 1019조원

2차추경 여파 나라살림 적자 71조원···국가채무 1019조원

올해 들어 5월 말까지 나라살림 적자가 70조원을 넘어섰다. 2차 추가경정예산(추경)이 집행되며 소상공인 손실보전 등 지출이 몰렸기 때문이다. 14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재정동향 7월호'에 따르면 올해 1∼5월 누계 기준 관리재정수지는 71조2000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관리재정수지는 통합재정수지(총수입-총지출)에서 국민연금 등 4대 보장성 기금을 차감해 정부의 실질적인 재정 상태를 보여주는 지표다. 적자 규모는 작년 동기보다 22조7000억원 증가하며

국가채무 50% 중반서 통제···통합재정 대신 관리재정수지로

국가채무 50% 중반서 통제···통합재정 대신 관리재정수지로

정부가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비율을 50% 중반대로 관리하기로 했다. GDP 대비 관리재정수지 적자는 당장 내년부터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되돌리고, 재정준칙도 통합재정수지보다 엄격한 관리재정수지 기준으로 변경한다. 정부는 7일 윤석열 대통령이 주재한 국가재정전략회의에서 이러한 내용을 발표했다. 우선 정부는 GDP 대비 국가채무비율을 2027년까지 50% 중반대에 묶어두기로 했다. 올해 연말 기준 49.7%(2차 추가경정예산 기준)로

집집마다 난리 난 상황···'K부채' 얼마나 심각한가

[카드뉴스]집집마다 난리 난 상황···'K부채' 얼마나 심각한가

빚은 남에게 빌려 쓴 돈으로, 결국 다시 갚아야 할 의무가 있는 재화인데요. 나랏빚이 말이 아닙니다. 국회 예산정책처에 따르면 6월 27일 기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순채무를 합친 국가채무는 총 1,039조 원. 이를 4월 말 기준 주민등록인구인 5,159만 3,000명으로 나누면 국민 1인당 국가채무는 무려 2,013만 8,530원입니다. 이 1인당 채무 증가 속도도 점점 빨라지고 있지요. 1997년 외환위기 당시만 해도 1인당 국가채무는 131만 원에 불과했는데요. 2014년에 1,039만

나라빚 사상 첫 1000조 넘어···재정준칙 시급

[재정건전성 논란]나라빚 사상 첫 1000조 넘어···재정준칙 시급

올해 4월 말 기준 국가채무가 사상 처음으로 1000조원을 돌파했다. 국가채무가 갈수록 치솟는 상황에서 재정준칙 법제화 등을 통한 재정 정상화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6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6월 재정동향'에 따르면 올해 4월 말 기준 중앙정부 채무 잔액은 1001조원으로 집계됐다. 한 달 전인 3월 말(981조9000억원)보다 19조1000억원 증가한 수치다. 이로써 국가채무는 사상 처음으로 1000조원을 넘어서게 됐다. 국가채무는 중앙정부 채무와 지방

1분기 세금 22조6000억원 더 걷혔지만 나라살림은 45조5000억원 적자

1분기 세금 22조6000억원 더 걷혔지만 나라살림은 45조5000억원 적자

올해 들어 1분기까지 세금이 작년보다 20조원 넘게 더 걷혔지만, 나라살림 적자는 여전히 45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1분기 기준 국가채무는 982조원에 육박했다. 19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재정동향 자료에 따르면 올해 1분기(1∼3월) 국세 수입은 111조1000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22조6000억원 증가했다. 세목별로 보면 법인세(31조1000억원)가 기업 실적 개선의 영향으로 10조9000억원 늘었다. 고용 회복 흐름이 이어지며 소득세(35조3000억원)도 근로소득세

나라빚 '빨간불'···"尹정부, 재정준칙 도입" 한목소리

나라빚 '빨간불'···"尹정부, 재정준칙 도입" 한목소리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이 올해 50%를 돌파할 전망이 나오면서 재정 악화 경계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윤석열 정부에서 재정건전성을 높일 재정준칙 마련에 속도가 붙을 지 주목된다. 25일 '2021회계연도 국가결산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국가부채는 2020년 대비 214조7000억원 늘어난 2196조4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국내총생산(GDP) 2057조4000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2020년에 이어 2년 연속 국가부채가 GDP를 추월했다. 중앙·

홍남기 "차기 정부에서 재정준칙 반드시 도입해야"

홍남기 "차기 정부에서 재정준칙 반드시 도입해야"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차기 정부에서 재정준칙을 반드시 입법화해 도입해야 한다"고 21일(현지시간) 말했다. 홍 부총리는 이날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 회의 취재 기자단과 간담회를 갖고 "현재 전 세계 105개 국가와 미국의 50개 주 가운데 49개 주에서 재정준칙을 도입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도 한국형 재정준칙 도입이 시급하고, 새 정부가 국정과제에 재정준칙을 포함한 것으로 안다"고 덧붙였다. 정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