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4월 11일 금요일

  • 서울 9℃

  • 인천 6℃

  • 백령 8℃

  • 춘천 5℃

  • 강릉 7℃

  • 청주 8℃

  • 수원 6℃

  • 안동 6℃

  • 울릉도 9℃

  • 독도 9℃

  • 대전 6℃

  • 전주 6℃

  • 광주 4℃

  • 목포 7℃

  • 여수 11℃

  • 대구 8℃

  • 울산 9℃

  • 창원 11℃

  • 부산 10℃

  • 제주 9℃

비만약 검색결과

[총 6건 검색]

상세검색

경구형에 병용요법까지···비만약 트렌드 발맞추는 국내사

제약·바이오

경구형에 병용요법까지···비만약 트렌드 발맞추는 국내사

지난해 글로벌 제약·바이오업계 트렌드를 이끈 비만약이 올해도 진화를 예고하며 신약 개발 경쟁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국내 기업도 병용요법 약물과 경구용 제형 등 효능·투약 편의성을 높인 비만 치료제 개발에 나서며 이 같은 움직임에 동참해 기술수출 성과를 내고 있다. 19일 제약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올릭스는 최근 미국 일라이 릴리와 9100억원 규모의 독점 라이선스 계약을 맺었다. 올릭스는 지난 7일 릴리와 대사이상성 지방간염(MASH)·비

디앤디파마텍 기술 이전 멧세라 나스닥 사장···마일스톤 수령 가속화

제약·바이오

디앤디파마텍 기술 이전 멧세라 나스닥 사장···마일스톤 수령 가속화

디앤디파마텍이 기술 이전 계약을 맺은 멧세라가 미국 나스닥에 상장했다. 디앤디파마텍의 마일스톤 수령 가속화도 기대되는 이유다. 6일 제약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미국 멧세라는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나스닥에 상장했다. 상장 첫날 종가 26.5달러로 마무리되며 시총 28억달러(한화 약 4조원)를 형성했다. 멧세라는 디앤디파마텍에서 도입한 경구용 비만치료제 후보물질 'DD02S'의 북미 임상 1상을 진행 중이다. 증권신고서 제출일 기준 멧세라의 현금

키움證 "한미약품, 북경한미 매출 감소 등에 3분기 실적 감소"

종목

키움證 "한미약품, 북경한미 매출 감소 등에 3분기 실적 감소"

키움증권이 15일 한미약품에 대해 북경한미 실적 감소, 지역 의원 휴가철에 따른 매출 성장 둔화 등의 영향으로 3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시장 기대치를 하회할 것으로 판단했다. 이에 목표주가를 40만원에서 37만원으로 3만원(7.5%) 하향 조정했다.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키움증권은 한미약품 3분기 연결 매출액을 3713억원, 영업이익을 469억원으로 추정했다. 이는 시장 기대치 매출액 3860억원과 영업이익 575억원을 각각 4%, 18% 하회하는 수치다. 허혜

노보 '위고비' vs 릴리 '마운자로', 국내 비만약 시장 경쟁 예고

제약·바이오

노보 '위고비' vs 릴리 '마운자로', 국내 비만약 시장 경쟁 예고

글로벌 제약사 노보 노디스크와 일라이 일리의 비만 치료제 상륙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두 제품 출시일이 불명확한 가운데 국내 출시된 유일한 비만약 '삭센다'는 높은 수요를 보여 시장 성장 가능성을 입증하고 있다. 6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일라이릴리는 '마운자로'(성분명: 터제파타이드)가 체중 관리를 위한 보조제로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 품목허가를 획득했다고 지난 1일 발표했다. 지난해 6월 성인 제2형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 개선을 위한 식

동아에스티, R&D 투자로 수익성 흔들···매출 소폭 성장

제약·바이오

동아에스티, R&D 투자로 수익성 흔들···매출 소폭 성장

동아에스티가 신약 연구개발(R&D) 투자 확대로 수익성이 흔들리고 있다. 25일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동아에스티는 올 2분기 영업이익이 71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88억원) 대비 18.9% 감소한 수치다. 매출은 전문의약품(ETC) 사업 성장에도 불구하고 전년 동기 대비 2.3% 증가하는데 그쳤다. 2분기 매출액은 1577억원이다. 부진한 실적은 장기화되고 있는 의료파업 등 영업환경 악화에 기인한다. 실제 ETC 부문은 영업환경 악화로 처

"MASH 신약, 3년 내 블록버스터 된다···후발주자 데이터 기대"

제약·바이오

"MASH 신약, 3년 내 블록버스터 된다···후발주자 데이터 기대"

"투자자들은 신약이 나왔을 때 글로벌 블록버스터 의약품으로 등극할 수 있을지 없을지를 주로 본다. '레즈디프라'는 2026년, 2027년이면 연매출 1조원 이상 판매되는 블록버스터가 될 것으로 보인다." 허혜민 키움증권 애널리스트는 11일 오전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바이오 분야 국제 전시·컨벤션 행사 바이오플러스-인터펙스 코리아(BIX 2024)에 마련된 'MASH에서의 혁신과 투자 기회: 다면적 접근' 세션에서 이같이 말하며 MASH(대사이상 관련 지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