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4월 02일 수요일

  • 서울 12℃

  • 인천 13℃

  • 백령 7℃

  • 춘천 12℃

  • 강릉 13℃

  • 청주 13℃

  • 수원 13℃

  • 안동 14℃

  • 울릉도 8℃

  • 독도 8℃

  • 대전 14℃

  • 전주 14℃

  • 광주 14℃

  • 목포 14℃

  • 여수 14℃

  • 대구 14℃

  • 울산 14℃

  • 창원 14℃

  • 부산 14℃

  • 제주 15℃

생필품 검색결과

[총 15건 검색]

상세검색

11번가 판매 수수료 인하···최대 7%p↓

채널

11번가 판매 수수료 인하···최대 7%p↓

11번가가 패션, e쿠폰, 생필품 등 판매 수수료를 최대 7%p까지 낮춘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11번가는 다음달 1일부터 85개 카테고리 수수료를 인하하기로 했다. 서비스 이용료 인하 폭이 가장 큰 부문은 디자이너 남성 의류, 여성의류, 잡화로 기존 20%에서 13%로 7%p 낮아진다. 난로, 보일러 등 3개 카테고리와 갑티슈, 롤, 화장지, 키친타월 등 8개 카테고리의 수수료는 각각 10%에서 9%로 내린다. 일회용 식기, 수저, 종이컵 등 5개 부문은 12%에서 11%로 하향한다. 이는

줄줄이 오른 생필품, 가장 많이 상승한 품목은?

기획연재

[친절한 랭킹씨]줄줄이 오른 생필품, 가장 많이 상승한 품목은?

물가 상승세가 좀처럼 잡히지 않고 있습니다. 특히 과일값이 지난 1년 사이 36.9% 치솟아 일본보다 3.8배 높은 상승률(출처: 노무라증권)을 기록했는데요. 생활필수품 가격은 괜찮을까요?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가 생활필수품 37개 품목의 올해 1분기 가격을 조사한 결과, 25개 품목의 가격이 상승했습니다. 가격이 오른 25개 품목의 평균 상승률은 5.5%로 조사됐습니다. 그렇다면 37개 품목 중 어떤 품목의 가격상승률이 가장 높았을까요? 전년 동기 대비 가격상

이달부터 소·닭고기·분유 등 7개 품목에 0% 관세

이달부터 소·닭고기·분유 등 7개 품목에 0% 관세

정부가 이달부터 소고기, 닭고기, 분유 등 7개 생필품의 관세를 0%로 인하한다. 국민 체감이 큰 품목을 중심으로 관세를 낮춰 최근 급등한 밥상 물가 부담을 줄이겠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8일 윤석열 대통령 주재로 제1차 비상경제민생회의를 열고 '고물가 부담 경감을 위한 민생안정 방안'을 발표했다. 우선 이달부터 소고기, 닭고기, 돼지고기, 분유, 커피 원두, 주정 원료, 대파 등 7개 품목에 대해 할당관세 0%가 적용된다. 할당관세는 일정 기간 일정 물량

치솟는 물가···정부, 범부처 동원해 ‘물가 잡기’ 총력전

치솟는 물가···정부, 범부처 동원해 ‘물가 잡기’ 총력전

과자와 라면, 우유·유제품 등 생필품 가격이 크게 오르자 정부가 물가 관리에 칼을 빼 들기 시작했다.가격 인상에 대한 감시 역할을 공정거래위원회에서 전 부처로 확대하고 이상 징후 포착 시 강도 높은 수준의 제재에 나서겠다는 방침이다. 7일 관가에 따르면 기획재정부와 공정위를 중심으로 농림축산식품부,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행정안전부 등 부처가 물가 모니터링 강도를 최근 격상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글로벌 인플레이션

옥션, 생필품 대용량 제품 판매 10배 급증···‘가용비’ 뜬다

옥션, 생필품 대용량 제품 판매 10배 급증···‘가용비’ 뜬다

옥션은 대용량 제품들의 판매량이 급증했다면서 가격대비 용량을 의미하는 ‘가용비(價用比)’가 가성비와 함께 불황 속 쇼핑 키워드로 자리잡았다고 8일 밝혔다. 이날 옥션에 따르면 지난 1월부터 5월까지 대용량 제품 판매량이 지난해보다 최대 10배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소모성이 강한 생필품의 경우 대부분의 품목에서 대용량 제품이 인기를 끌었다. 칫솔은 대용량 제품이 올 들어 지난해 보다 83% 늘었다. 면도용품도 대용량 제품이 같은

3월 수출물가 4개월 만에 하락세 전환

3월 수출물가 4개월 만에 하락세 전환

지난달 수출물가가 4개월 만에 하락세로 전환했다. 원·달러 환율이 떨어졌기 때문이다.한국은행이 12일 발표한 ‘2016년 3월 수출입물가지수’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물가 지수(원화기준)는 80.72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 2월(81.96)에 비해 1.5%, 전년동월 대비 4.5% 내린 것이다.이에 대해 한은은 석유제품 가격이 상승한 반면 원화 환율이 떨어진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이 기간 원·달러 평균환율은 전달 1217.35원에서 3월에는 1188.21원으로 2.4% 하락했다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