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셋값 폭등, 우윳값·택시요금 인상 등 추가요인 탓
1일 현대경제연구원이 지난달 13~19일 전국 성인남녀 1015명을 조사해 내놓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중산층과 체감중산층의 괴리’ 보고서에 따르면 상반기 국민 체감물가 상승률은 작년 동기 대비 5.4%에 달했다.
이는 통계청의 물가상승률 1.3%의 4.2배에 달하는 수치다. 특히 자신을 중산층이라고 생각하는 가구(5.2%)보다 스스로 저소득층이라고 생각하는 가구(5.7%)에서 체감물가 상승률은 더 높게 나왔다.
같은 방식으로 조사한 체감 물가는 지난해 8월에도 5.0%로 공식 물가상승률(1.2%)을 크게 웃돌았다. 이 같은 결과는 실생활과 관련한 물가가 더 가파르게 오른 탓으로 풀이된다.
소비자물가는 2010년 1월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8.5% 상승했다. 그러나 같은 기간 의류·신발 물가는 11.7%, 식료품·음료는 16.4%, 주택·수도·전기·연료는 14.0%씩 치솟았다.
현재 소비자물가를 산정할 땐 5년마다 품목·가중치를 바꾸는데, 갈수록 빠르게 변하는 가구 소비구조를 반영하기엔 5년이란 기간이 역부족이란 지적이 나온다.
지표물가와 체감물가 괴리는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전셋값 폭등뿐 아니라, 소비자와 밀접한 각종 물가가 뛴 탓이다.
서울우유는 지난달 30일부터 우윳값을 리터(ℓ)당 220원 인상했다. 서울 택시요금은 10월 중 500~700원씩 오를 예정이다. 경기도에선 지표 물가상승률을 0.1~0.2%포인트(전국) 끌어내렸던 무상급식을 내년부터 중단할 계획이다.
이미 일반인 체감물가를 반영하는 기대인플레이션율(1년 뒤 물가상승률 예측치)은 8월에 다시 3%대(3.0%)로 상승했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당국이 지표물가만으로 정책을 펼치면 국민의 경제적 고통을 가중할 수 있다”며 “체감물가가 반영된 새로운 통계지표 개발 필요성이 급선무”라고 지적했다.
김지성 기자 kjs@

뉴스웨이 김지성 기자
kjs@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