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두 번째 ‘불공정거래 사전관리 설문조사’ 예정
한국제약협회(회장 이경호)가 불법 리베이트 근절을 위한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제약업계에 따르면 제약협회는 오는 14일 열리는 이사회에서 ‘불공정거래 사전관리 설문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설문조사는 제약협회 이사사로 참여하고 있는 50개 업체 대표이사나 대표이사의 위임을 받은 대리인이 리베이트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의심되는 제약사 3곳의 이름을 무기명으로 투표하는 것이다. 이번이 두 번째로 제약협회는 설문조사를 통해 불법 리베이트를 방지하고 제약업계의 이미지를 쇄신하겠다는 계획이다.
또 지난 4월 첫 투표 이후 이경호 제약협회 회장은 설문조사에서 이름이 언급된 3개 제약사에 경고 조치를 내렸다. 이 회장은 해당 제약사의 최고 경영진을 비공개로 만나 관련 사실을 전달하고 윤리경영 확립을 위한 협력을 요청했다.
이번 설문조사 역시 첫 번째와 동일한 방식이다. 설문조사에 참여한 제약사 대표이사나 대리인이 제약사 3곳의 이름을 기재해 제출하게 되며 제약협회는 가장 많이 이름이 나온 제약사에 협회 차원의 경고를 내리게 된다.
아울러 제약협회는 설문조사가 강제성이나 구속력을 갖지는 않지만 불법 리베이트 근절 자정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만큼 설문조사를 지속적으로 실시할 방침이다. 제약협회 관계자는 “설문조사가 제약업계 분위기 환기는 물론 리베이트 근절을 위한 다양한 활동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제약업계도 설문조사에 대해 문제를 지적하기보다는 최대한 협조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지난 설문조사 후에도 끊이지 않았던 당위성과 실효성에 대한 문제 제기는 거의 사라졌다. 피할 수 없다면 받아들이겠다는 것이지만 제약사 스스로도 CP를 강화하며 리베이트 근절 의지를 보이고 있어 이번 기회에 리베이트를 뿌리 뽑겠다는 심산이다.
게다가 이번 투표에서 이름이 거론되면 투표 후 경고 조치 등을 떠나 제약업계 내에서도 신뢰를 얻지 못하고 있는 기업으로 남을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이에 일부 제약사는 리베이트 제공을 내부적으로 단속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한 제약업계 관계자는 “그동안 설문조사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하지만 업계 내에서도 리베이트 근절을 위한 의지가 충만하고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사태로 영업활동이 줄면서 리베이트 근절에 대한 분위기가 형성됐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설문조사 등 지속적인 노력이 이어진다면 ‘제약업계=리베이트’라는 오명을 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황재용 기자 hsoul38@

뉴스웨이 황재용 기자
hsoul38@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