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회 소속 48개 제약사 CEO들은 본인들이 알고 있는 불법 리베이트 제공 업체를 적었다. 또 이 회장은 이름이 나온 제약사 대표에게 이를 통보해 사전에 리베이트 제공을 막겠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제약협회가 고심 끝에 꺼낸 이 카드는 대외적으로 제약협회의 노력을 보여주기 위한 모습에 불과할 뿐 아무런 효과를 가져올 수 없다.
우선 투표 방식이 문제다. 투표는 대리인이 대신할 수도 있고 단지 ‘의심’이 되는 제약사를 적는 방식이다. 명확한 기준이나 근거 없이 본인이 알고 있는 제약사나 추측되는 제약사의 이름을 쓰라는 말이다.
대리인이 알아서 작성할 가능성도 적지 않았으며 그 자리에 없는 제약사가 타깃이 될 가능성은 그보다 컸다. 여기에 무기명 투표라는 점과 213개의 회원사가 모두 참여하지 않다는 다는 것도 신뢰성을 떨어뜨렸다.
특히 이름이 나온 제약사에 대한 조사나 점검 없이 이 회장의 일방적인 통보만이 끝이다. 강제성이나 법적인 효력이 없어 지명된 제약사들이 이 회장의 말을 잘 들을지도 미지수다. 즉 제약협회가 거론된 제약사를 대상으로 한 영업환경 점검, 교육 프로그램, 퇴출 등의 구체적인 대안을 사전에 마련했어야 한다.
올해는 제약협회가 70주년을 맞는 역사적인 시기다. 그동안 늘 따라다녔던 리베이트라는 꼬리표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보여주기식 카드보다는 업계에 필요한 진정성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황재용 기자 hsoul38@

뉴스웨이 황재용 기자
hsoul38@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