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개 제약사 CP 운영···대형 제약사 앞다퉈 동참
제약업계에 따르면 국내 대형 제약사를 포함한 50개 정도의 기업이 공정거래 자유준수 프로그램인 CP를 최근 강화하고 있다.
CP는 기업이 공정거래 관련 법규를 준수하기 위해 자율적으로 도입·운영하는 내부 준법시스템이다. 2000년대 후반부터 도입된 CP는 이제 제약사의 필수사항이 되고 있다. 리베이트로 적발되면 보험급여 목록에서 해당 의약품이 삭제되는 ‘리베이트 투아웃제’의 시행으로 제약사의 부담이 커졌고 글로벌 제약사와의 협력 강화와 해외 진출에 리베이트가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이에 국내 제약사들이 CP를 운영하면서 법 준수를 위한 명확한 행동기준을 직접 제시하고 법 위반을 조기에 예방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국내 대형 제약사들이 윤리경영을 목표로 앞다퉈 CP 강화를 선언하고 있다.
먼저 지난 2007년 제약업계에 최초로 CP를 도입한 한미약품은 2011년부터 제도를 본격 운영했다. 별도의 자율준수관리자를 선임하고 독립적인 CP관리팀을 신설했으며 매달 CP 규정 이행실적을 평가해 우수직원 포상과 규정 위반자에 대한 인사위원회 회부 등을 실시하고 있다.
아울러 녹십자와 대웅제약, 동아에스티도 불공정거래행위 척결을 위해 팔을 걷어붙였다.
녹십자는 최근 사내 인트라넷 ‘G-Net’에 익명제보 기능을 추가한 내부제보 시스템을 오픈했다. 이미 고객과 주주 등 제3자가 기업 홈페이지를 통해 공정거래 관련 제보를 할 수 있도록 조치한 녹십자는 이번 시스템을 통해 윤리경영을 강화했다. 또 제보자가 어떠한 불이익도 받지 않을 수 있도록 신원이 보장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대웅제약도 회사 홈페이지 전면에 ‘사이버 신문고’를 개설했다. 불법 리베이트 신고를 접수하는 기능으로 신고 대상은 ▲회사 및 임직원의 윤리강령 위반행위 ▲회사 업무 개선을 위한 제안 ▲윤리경영 적극 실천 모범사원·직원 선행 사례 등 미담 ▲성희롱에 따른 풍기문란 사례 등이다.
아울러 동아에스티 역시 회사 홈페이지에 ‘사이버 감사실’을 운영하고 있다. 사이버 감사실은 동아쏘시오그룹 내 독립부서이며 회사에 대한 경영감사 및 부정감사 업무를 담당한다. 특히 동아에스티는 그룹사 임직원의 불공정한 업무처리나 직위를 이용한 부당한 요구 및 비리 사실에 대한 제보를 중점적으로 받고 있다.
이와 함께 지난해 제약업계 최초로 매출 1조원을 돌파한 유한양행은 CP전담조직을 감사팀으로 두고 있으며 글로벌 제약사인 한국아스텔라스제약 역시 홈페이지에 공정거래 자율준수 코너를 만들었다.
또 지난해 역대 최대 규모의 리베이트 사건을 일으킨 동화약품은 지난 14일 CP 강화 선포식을 개최했다. 자발적으로 CP를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것으로 동화약품은 CEO 산하의 CP 전담조직을 재정비하고 즉각적인 행동지침을 공개했다.
이에 대해 제약업계 관계자는 “제약업계에는 그동안 리베이트가 꼬리표처럼 따라다녔다. 하지만 최근 리베이트를 근절하겠다는 노력이 업계 안팎에서 이어지고 있다”며 “리베이트 척격을 위한 CP 강화는 이제 필수적인 부분으로 자리 잡았다”고 말했다.
황재용 기자 hsoul38@

뉴스웨이 황재용 기자
hsoul38@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