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진의 자율적으로 연봉을 반납해 청년 일자리 창출 재원을 마련한 것은 바람직한 일이다. 그러나 임금삭감이 임직원들까지 확산될 가능성이 어느때보다 높다. 이런저런 이유로 연봉 자진반납에 동참하라는 분위기가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벌써부터 금융권 근로자들까지 임금 삭감에 나서야 한다는 얘기가 나돌고 있다. 금융지주 회장의 임금 자진반납 후폭풍이 거세게 몰아치고 있는 것이다. 현재 금융권에서 일하고 있는 근로자들은 지난 2009년 신입직원 임금 삭감이라는 악몽이 떠오를 법 하다.
지난 2009년 금융권은 임직원의 임금을 삭감해 신규 채용을 늘렸다. 지금과 다른 점은 당시 임원의 임금을 삭감한 비중보다 신입직원의 초봉을 줄여 채용을 늘렸다는 점 뿐이다.
금융지주 회장들의 이번 결정이 자발적이 아닌 당국의 압박에 따른 불가피한 선택이었다면 문제는 심각하다. 이는 금융지주 회장의 연봉 자진반납 결정이 결국 근로자 임금 삭감과 임금 피크제 확대 등 압박용 카드로 이용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금융당국의 입김을 통한 연봉반납 확산은 또다른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 임금을 강제로 삭감해 고용 창출을 한다는 것은 있어서는 안된다. 금융사의 경우 금융 혁신을 통한 경쟁력 제고 노력과 함께 새로운 수익모델을 찾는데 더욱 매진해야 한다.
정부도 금융사가 새로운 사업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관련 규제를 완화해 일자리 창출을 지원하는 데 집중하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금융당국이 단기 성과에 급급해 노사 관계를 흔들어 놓는다면 시장은 혼란에 빠질 것이다.
조계원 기자 chokw@

뉴스웨이 조계원 기자
chokw@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