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철강 반덤핑 조사 등 신호탄 일뿐삼성 등 한국 가전부터 태양광까지 위기철강 제한조치 염려···수출비용 급증 관측
대미(對美)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기업들이 진퇴양난에 빠지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가 수입규제 단골 품목인 철강 뿐만 아니라 한국산 가전 등 다른 산업으로 반덤핑 조사를 확대할 조짐을 보이고나면서부터다.
사실상 트럼프 리스크가 현실화하면서 국내 주요 그룹의 수출길이 막힐 위기로 로비 등 수출 비용증가가 우려되고 있다.
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4월 탄소합금강선재에 대한 반덤핑 조사를 시작으로 한국산 수출품에 포문을 열었다.
지난달에는 냉간압연강관에 대한 반덤핑 조사와 결정질실리콘태양전지에 대한 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조치) 조사가 시작됐고 최근에는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가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수입에 따른 미국 업체의 피해 여부 조사에 들어갔다.
또 지난 5년간 이미 두 차례나 한국산 세탁기에 대해 덤핑 제소를 한 월풀(Whirlpool)이 삼성전자와 LG전자가 미국에서 세탁기를 덤핑 판매했다면서 ITC에 세이프가드 발동을 청원했다.
미국은 최근 한국산 등 외국산 태양광전지 수입에 대한 세이프가드를 검토하고 있다고 세계무역기구(WTO)에 공식 통보했다.
이에 해당하는 국내 업체는 한화큐셀, LG전자, 현대그린에너지 등이다. 현대그린에너지는 현대중공업이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난 4월 독립법인으로 분사했는데 출범하자마자 복병을 만났다.
한국태양광산업협회에 따르면 한국은 작년 미국에 12억 달러(약 1조3500억원) 상당의 태양광전지를 수출했다. 미국은 주요 태양광 시장인 만큼 업계는 협회를 중심으로 조사에 공동 대응하고 있다.
철강업계는 미국 정부가 수입산 철강을 대상으로 진행 중인 '무역확장법 232조' 조사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무역확장법 232조는 미국 정부가 국가안보에 위협이 된다고 판단할 경우 수입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한 조항으로 이달 말 조사 결과가 나올 전망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미국 상무부에 "한국산 철강이 미국 안보에 위협이 되지 않는다"는 공식 입장을 제출했지만, 업계에서는 최근 분위기를 고려하면 결국 일부 철강 품목에 제한 조치가 내려지지 않겠느냐는 우려가 나온다.
이에 기업들은 미국 법정에서 힘겨운 싸움을 하고 미국 로비업체에 수억 원을 쥐여주는 등 살길을 찾아 안간힘을 쓰고 있다. 미국 로비업체와 계약을 체결하고 미국 워싱턴 D.C.에 현지 사무소를 신설하는 등 미국 정부를 상대로 적극적인 로비에 나서고 있다.
삼성전자 등 삼성 계열사가 미국 상원에 신고한 로비 내역에 따르면 삼성그룹은 올해 1분기 총 73만 달러(약 8억2000만원)를 사용했다. 삼성전자가 68만 달러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포스코는 통상 기능 강화를 위해 올해 초 미국 법인 산하에 워싱턴 사무소를 처음으로 개소했다. 현대자동차도 지난 2월 미국 연방 정부 고위직 출신을 워싱턴 D.C. 사무소의 대관 담당 임원으로 영입했다.
뉴스웨이 김성배 기자
ksb@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