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삼성인사 이후 이부진 사장의 역할 확대 가능성은?

[삼성인사에 쏠린 눈]삼성인사 이후 이부진 사장의 역할 확대 가능성은?

등록 2017.10.19 09:39

강길홍

  기자

공유

이재용 부회장 공백 장기화오너가 경영참여 필요성 제기돼호텔신라 맡아 경영능력 입증삼성 “말도 안되는 얘기” 일축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왼쪽)과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남매. 사진=뉴스웨이DB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왼쪽)과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남매. 사진=뉴스웨이DB

삼성그룹 인사와 조직개편이 임박한 가운데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의 역할 확대 가능성에 관심이 쏠린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공백이 장기화되는 가운데 오너일가의 총수공백을 메울 대안으로 꼽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사장이 주로 호텔신라만 맡아왔고 그동안 역할이 제한적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불가능한 시나리오’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 부회장과 이 사장은 한때 삼성그룹의 차기 경영권을 두고 후계자 경쟁을 벌였다. 이 부회장 쪽으로 항상 기울기는 했지만 이 사장도 ‘리틀 이건희’라고 불리며 유력한 경쟁자로 꼽혔다.

현대나 LG와 달리 삼성가에서는 여성들의 경영참여가 활발했다는 점도 이 사장의 승계 가능성이 제기되는 이유였다.

이병철 삼성 창업자의 장녀인 이인희 한솔그룹 고문과 이명희 신세계 회장은 대표적인 여성 경영자로 꼽힌다. 이 사장도 1995년 삼성복지재단에서 일찌감치 경영수업을 시작했다.

이 부회장과 이 사장은 지난 2010년 사장단인사를 통해 나란히 사장으로 승진하기도 했다. 이 사장은 승진 후 호텔신라 대표이사를 맡기도 했다.

두 사람의 승계경쟁은 이 부회장이 2012년 연말 부회장에 오르면서 마무리됐다. 이후 이 회장의 해외 출장이 잦아졌고 그때마다 이 부회장이 빈자리를 대신하면서 차기 후계자임이 기정사실화 됐다.

2014년 이 회장이 급성심근경색으로 쓰러진 뒤로는 이 부회장은 사실상 총수에 오르게 됐다. 최지성 전 미래전략실장(부회장)은 이 부회장에게 회장 취임을 건의하기도 했다.

이 부회장은 이 회장이 병상에 누워 있는 상황에서 회장에 오르는 것은 도리가 아니라고 생각해 이를 거절했다.

이 때문에 대외적으로 삼성그룹 총수 역할을 하면서도 주로 삼성전자 경영에 집중하며 대규모 투자와 전략적 인수합병(M&A) 등에 주력했다. 특히 하만 인수 과정을 진두지휘하면서 차세대 성장동력을 마련했다는 평가다.

그러나 지난해부터 말부터 특검 수사가 시작되면서 경영에 집중하지 못했고 지난 2월에는 결국 구속됐다. 지난 8월 1심 판결에서 징역 5년형을 선고받으면서 복귀 시기도 불투명했졌다.

이 때문에 삼성그룹의 총수공백 장기화가 불가피해졌고 이 사장의 역할 확대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이 사장의 경영능력은 이미 입증됐다는 평가다. 호텔신라를 통해 호텔과 면세점 사업에 집중하고 있는 가운데 신라스테이와 HDC신라면세점 등 신규사업에서 성과를 내고 있다.

하지만 이 사장이 호텔신라 이외의 다른 계열사는 맡아본 경험이 없다는 점에서 총수 역할을 하기에는 부족하다는 평가도 나온다. 삼성 측에서도 이 사장의 등판 가능성에 대해 “말도 안되는 소리”라고 일축하고 있다.

오히려 삼성이 연말 인사를 통해 그룹 컨트롤타워를 신설하고 비상경영체제에 돌입할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현재 항소심 재판이 진행 중인 이 부회장은 계속해서 무죄를 주장하고 있기 때문에 예상보다 복귀가 빨라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또한 1심 선고가 임박한 박근혜 전 대통령 재판 결과에 따라 이 부회장의 집행유예 가능성도 법조계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다.

뉴스웨이 강길홍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