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재정수지 적자 2월 기준으로 2011년 이후 최대
정부의 실제 재정 상태를 나타내는 관리재정수지 적자 폭은 2월 기준으로 집계 시작 이래 최대를 기록했다.
기획재정부가 7일 발간한 ‘월간 재정동향 4월호’를 보면 올해 1∼2월 국세 수입은 46조8000억원으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2조4000억원 감소했다.
1월 전년과 비교해 6000억원 덜 걷힌 국세는 2월에는 감소 폭을 1조8000억원으로 더 키웠다.
세수진도율은 1년 전보다 0.7%포인트 떨어진 16.1%에 그쳤다. 세수진도율은 정부가 한 해 걷으려는 세금 목표 중 실제로 걷은 금액이 차지하는 비율이다.
지방소비세율이 15%에서 21%로 인상됨에 따라 1∼2월 부가가치세가 1조2000억원 줄어든 영향이 컸다고 기재부는 분석했다.
총 10조3000억원으로 전년보다 1조8000억원 줄어든 2월 한 달 국세 수입을 주요 세목별로 보면, 소득세는 9조7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1조2000억원 늘었다. 부동산거래가 증가해 양도소득세가 늘어났다.
법인세 세수는 4000억원으로, 경정청구 환급에 따라 1년 전보다 6000억원 줄었다.
부가세 세수는 4조8000억원 오히려 마이너스(-)가 발생했다. 수출·설비투자 환급지급액을 줘야 하는 시기가 설 연휴의 영향으로 1월 말과 2월 초에 몰렸기 때문이다.
기타 나머지 국세의 2월 세수는 2조9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3000억원 감소했다. 종합부동산세 분납 기간을 2개월에서 6개월로 연장했기 때문이다.
장영규 기재부 조세분석과장은 “2월은 일반적으로 국세 수입이 다른 달에 비해 적다”며 “게다가 부가세 환급지급, 법인세 경정청구 환급 등의 우발적인 요인도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1∼2월 세외수입은 6조7000억원으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1조원 늘었다. 기금수입은 24조3000억원으로 1조7000억원 늘었다.
국세 수입에 세외수입·기금수입·세입세출 외 수입을 반영한 총수입은 1∼2월 77조8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3000억원 늘었다.
같은 기간 총지출은 104조원으로 1년 전보다 14조7000억원 늘었다. 재정을 적극적으로 조기 집행한 영향이라고 기재부는 설명했다.
총수입에서 총지출을 뺀 1∼2월 누계 통합재정수지는 26조6000억원 적자를 나타냈다.
통합재정수지에서 4대 보장성 기금을 빼 정부의 실질적 재정 상태를 보여주는 관리재정수지는 30조9000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적자 폭은 1년 전보다 14조7000억원이나 늘었다.
관리재정수지 적자 폭은 월간으로 관련 통계를 집계한 2011년 이후 2월 기준으로 가장 컸다.
강미자 기재부 재정건전성과장은 “관리재정수지 적자 폭은 역대 최고 수준으로 재정을 조기 집행했지만 상대적으로 2월 국세 수입이 줄어 나타난 일시적인 현상”이라며 “일정 기간 측정하는 유량(flow) 개념을 특정 시점에서 측정하는 저량(stock) 개념으로 해석하면 안 된다”고 설명했다.
2월 말 기준 중앙정부 채무는 725조2000억원으로 전월보다 13조5000억원 늘었다.
기재부는 국고채권 잔액이 12조5000억원 늘었고, 국민주택채권 잔액도 5000억원 증가한 영향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예산 집행 실적을 관리하는 2020년 관리대상사업 총 307조8000억원 중 2월 말까지 집행한 실적은 66조8000억원으로, 집행률은 전년보다 1.0%포인트 늘어난 21.7%였다.
뉴스웨이 주혜린 기자
joojoosky@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