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크론 대유행·불안한 경기회복세 영향지난해부터 세 차례 인상 효과 지켜볼 듯물가 상승 압력 커져 추가 인상 여지 남아
한은 금통위는 24일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1.25%로 동결해 통화정책을 운용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금통위는 지난달 새해 첫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p) 인상해 코로나19 이전 수준인 1.25%까지 회복시켰다. 지난해 8월과 11월 두 차례 기준금리 인상에 이은 세 번째 인상으로 경기 회복 속도에 맞춰 속도감 있게 '통화정책 정상화'에 나선 결과다.
앞서 금통위는 2020년 3월 16일 금통위는 코로나19 충격으로 경기 침체가 예상되자 기준금리를 한 번에 0.50%포인트 낮추는 이른바 '빅컷'(1.25%→0.75%)을 단행했고, 같은 해 5월 28일 추가 인하(0.75%→0.50%)를 통해 2개월 만에 0.75%포인트나 금리를 빠르게 내린바 있다.
이번 동결 결정은 '숨고르기' 차원으로 풀이된다. 지난달 금리 인상 직후 통화정책방향 결정문에세도 '기준금리 인상의 파급효과'를 살펴보겠다는 표현을 추가하면서 속도 조절도 시사한 바 있다. 최근 확진자 수도 급격히 증가한 만큼 무리하게 금리를 올리지 않은 것으로 풀이된다. 또 지금까지 세 차례 연속으로 금리를 올린 적도 없는데다 다음달 대통령 선거와 이주열 총재의 임기가 만료되는 만큼 무리하게 인상할 필요가 없어서다.
특히 급격한 기준금리 상승은 최근 이미 많이 오른 시장금리를 더 자극하고, 대출이자 인상으로 이어져 일반 가계나 자영업자의 이자 부담을 키울 우려도 있다. 대출금리가 기준금리 1회 인상 폭인 0.25%포인트만 올라도 가계의 연간 이자 부담은 2020년 말과 비교해 3조2000억원 정도 불어난다.
다만 추가 인상은 가능할 것이란 예상이다. 미 연준이 다음 달부터 금리를 올릴 것으로 예고한 만큼 한미 금리 격차를 유지해야 한다. 이날 금통위의 동결 결정에 따라 한국의 기준금리와 미국 연준 기준금리(0.00∼0.25%)의 격차도 1.00∼1.25%포인트로 유지됐다.
또 국제 유가 상승 등 물가 상승이 높아지고 있어 물가 안정 역시 중요한 목표로 삼고 있는 한은이 손을 놓고 있을 수만은 없어서다.
통계청에 따르면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10월 3.2%로 3%대를 넘어선 이후 11월(3.2%), 12월(3.7%), 올해 1월(3.6%) 등으로 올라 4개월 연속 3%대를 기록했다. 지난해 연간 물가 상승률은 2.5%, 근원물가 상승률은 1.8%에 달했다. 이는 한은의 물가안정 목표(2%)를 크게 상회 하는 수준이다.
한은은 이날 경제전망을 통해 올해 소비자물가 전망을 지난해 11월 전망치보다 큰 폭으로 올린 3.1%로 올려잡았다. 내년 소비자 물가는 2.0%이다. 경제성장률은 기존 전망치와 같은 수준인 올해 3.0%, 내년 2.5%로 유지했다.
뉴스웨이 한재희 기자
han324@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