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전망치 1.75~2.0% 사실상 동의 2~3차례 추가 인상 가능성 드러내우크라이나 사태 물가상승에 영향'기축통화 가능성' 질문엔 언급 피해
임기내 마지막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한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4일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1.25%로 동결한 뒤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통화정책의 완화정도를 어느 정도, 어느 속도로 조절할 지는 앞으로의 경제 상황에 달렸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시장에서는 한국은행이 연내 기준금리를 1.75%~2.0%까지 인상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이는 현 수준에서 0.25%포인트(p)씩 인상한다고 가정할 때 2~3차례 추가 인상이 이루어져야 한다. 한국은행이 추가 인상을 고려하고 있다는 것을 에둘러 표현한 셈이다.
이 총재는 "기준금리를 한차례 더 올려도 긴축은 아니다"라며 "추가 인상은 물가와 성장, 지정학적 리스크, 오미크론 영향 등을 다 봐야 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통화정책 완화 정도는 계속, 지속적으로 줄여가야 한다는 것이 금통위 다수의 의견"이라면서 "앞으로 한 차례 올리는 것은 긴축으로 볼 수 없는데, 정책 기조에서 읽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긴축이냐 아니냐의 여부는 중립금리 수준, 적정성 여부 판단하는 준칙 금리 등을 고려하는데, 1.5%로 올라도 여전히 완화적"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물가가 많이 올랐기 때문에 완화 정도가 더 커졌다는 판단"이라며 "추가 인상이 얼마나 필요할지는 물가, 성장, 지정학적 리스크 영향, 오미크론 등을 보고 판단해야 하기 때문에 꾸준히 가져가야 할 과제"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지난번 금리 인상 때 파급효과를 점검하겠다고 한 데로 세 번 올린 인상 효과를 계측해 보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한은은 올해 물가상승률 전망치를 3.1%로 올려잡았다. 이 총재는 물가상승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코로나19 대유행과 우크라이나 사태, 국제 유가 상승등을 꼽았다. 그 가운데 우크라이나 사태는 물가 상승을 유발하는 가장 큰 요인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 총재는 "물가 측면을 보면 공급측 외에 수요측 요인도 커져서 물가 상승 압력이 생각보다 확대되고 있다"며 "경기와 물가 흐름, 금융 불균형 위험을 감안해보면 통화정책의 완화 정도를 지속적으로 조정해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금통위원 다수의 의견"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번에 경제성장률, 물가상승률 전망을 내놓으면서 우크라이나를 둘러 싼 긴장 상태가 상당 기간 지속되겠다는 것을 전제로 했다"며 "다만 전면전으로 치닫는 최악의 상황을 가정한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만약 우크라이나 사태가 전면전으로 돌입하게 되면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양국이 글로벌 원자재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고 당장 원자재 수급 불균형이 나타나면서 국내 물가상승 압력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서방에서 경제 재제의 수위를 높일 경우 글로벌 교역이 위축돼 국내 생산과 수출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 총재는 "아직 거기까지 상정하고 숫자로 반영하지는 않았지만, 전면전으로 갈 경우에는 충격이 크지 않을 수가 없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한국이 기축통화국 대열에 진입할 가능성에 대해 질문하자 "정치 이슈화 된 부분이어서 답하기 적절하지 않다"며 구체적인 언급을 피했다.
이 총재는 "우리가 기축통화국 대열로 진입할 가능성이 있겠느냐는 것은 사실상 이미 정치 이슈가 돼 버렸다"며 "대선이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제가 이 자리에서 언급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기축통화국이 될 수 있는 한국인 만큼 국가 채무 비율이 100%까지 치솟아도 괜찮다'라는 대선 후보 주장에 대한 의견을 묻는 말에도 "아무리 경제적인 측면에 입각해 설명한다고 하더라도 의도치 않은 결과를 나타낼 수 있어 답변하기에 적절치 않다"고 대답했다.
대신 이 총재는 "원화가 대외적으로 경쟁력을 유지하려면 무엇보다도 우리 경제의 펀더멘털이 튼튼해야 한다"며 "또한 인프라 확충과 제도적 기반을 갖추는 게 다 수반이 돼야만 경쟁력이 높아질 수 있다"고 답하며 원화의 국제경쟁력 확보와 관련해 원론적인 입장을 밝혔다.
뉴스웨이 한재희 기자
han324@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