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금통위서 베이비스텝···3.0%→3.25%高물가 이어졌지만 자금경색·경기침체 우려내년 성장률 전망 2.1%→1.7%로 하향 조정
한은은 12일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통화정책결정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재 3.0%에서 0.25%포인트 인상한 3.25%로 운용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2012년 7월(3.25%) 이후 10년 4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지난달 '빅스텝(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에 이어 '베이비스텝(기준금리 0.25%포인트 인상)'을 밟으면서 6회 연속 기준금리를 인상하는 기록도 세웠다.
올해 들어서 1월, 4월, 5월, 7월, 8월에 이어 10월, 11월까지 총 일곱차례 기준금리를 인상한 것으로 지난 1월 당시 기준금리 1.25%에서 단숨에 2.0%포인트 뛰어 올랐다. 기준금리 인상이 시작된 지난해 8월과 비교하면 2.75%포인트 높아졌다.
한은이 기준금리를 인상한 가장 큰 이유는 여전히 고물가 상황이 이어지고 있어서다. 지난 7월 물가 상승률 6.3%를 기록한 8월 5.7%, 9월 5.6%, 10월 5.7%를 기록하며 5% 후반대를 등락하고 있다. 한은은 당분간 소비자물가가 5%대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한 만큼 고물가 고착화를 막기 위한 선택으로 풀이된다.
앞으로 1년의 물가 상승률 전망에 해당하는 기대인플레이션율 역시 높은 수준을 유지 중이다. 11월 기대인플레이션은 4.2%로 10월 4.3% 보다 낮아졌지만 7월(4.7%)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한 이후 다섯 달 연속 4%대를 기록했다.
다만 원‧달러 환율이 1300원대 초중반까지 떨어지면서 안정세를 보이고 있고 레고랜드발 자금·신용 경색 위험, 뒷걸음질 치는 성장세 등을 이유로 기준금리 인상 속도조절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달 빅스텝에 이어 다시 한 번 빅스텝을 밟을 만큼 위기 상황이 아니라는 뜻이다.
여기에 미국이 12월 자이언트 스텝(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이 아닌 빅스텝을 밟으며 긴축 속도를 조절할 것이라는 전망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연준이 23일(현지시간) 공개한 1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의사록을 보면 "과반을 상당히 넘는 수의 참석자들이 (기준금리) 인상 속도의 둔화가 곧 적절해질 것으로 판단했다"고 밝혔다.
연준은 지난 1∼2일 열린 11월 FOMC 정례회의에서 4회 연속 자이언트 스텝(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을 통해 기준금리를 3.75∼4.00%로 끌어올렸다. 다만 이어진 기자회견에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르면 12월부터 인상폭을 낮추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이날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한미 금리차는 0.75%p~1.0%p에서 0.25%p~0.75%p로 좁혀졌다.
관심은 한국은행의 인상 기조가 언제까지 이어질지다. 내년 상반기까지 인상 기조를 이어갈 것이란 관측이 우세한 가운데 시장에서 예상하는 기준금리 최종 수준은 3.5∼3.75% 수준이다. 내년 상반기 예정된 네 차례 금통위에서 한두 차례 베이비스텝을 밟을 것이란 분석이다.
이는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한 성장률이 둔화하고 심각한 경기 침체 국면으로 접어 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서다.
실제로 한은이 이날 발표한 수정경제전망을 보면 내년 성장률을 1.7%로 낮춰잡았다. 올해 경제성장률은 지난 8월 전망한 2.6%를 유지했지만 내년 성장률은 0.4%포인트 하향 조정됐다. 이는 우리 경제의 잠재성장률 2.0%를 하회하는 것으로 1%대 성장률은 코로나19로 마이너스 성장했던 2020년(-0.7%),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은 2009년(0.8%)을 제외하면 2000년대 들어 가장 낮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5.1%, 내년 3.6%, 2024년 2.5%로 전망했다.
뉴스웨이 한재희 기자
han324@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