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년간 기업은행서 요직 거친 '전략통'소비자 중심 업무관행 정착에도 기여
30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이날 김성태 기업은행 전무를 신임 행장으로 임명 제청했다.
기업은행장은 금융위원장의 제청을 거쳐 대통령이 임명하는 자리다. 대통령의 승인이 떨어지면 김성태 기업은행장 내정자는 내년 1월부터 윤종원 행장의 뒤를 이어 3년간 은행을 이끌게 된다.
1962년생인 김성태 내정자는 대전상업고등학교와 충남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핀란드 헬싱키경제대 석사(MBA) 학위를 받은 인물이다. 그는 1989년 기업은행 입행 후 전략기획부 미래혁신팀장, 비서실장, 미래기획실장, 마케팅전략부장, 소비자보호그룹장 등을 지냈고 경영전략그룹장과 IBK캐피탈 대표를 거쳐 은행 전무로 근무해왔다.
금융위 측은 김 내정자가 기업은행에서 33년간 재직하면서 중소기업을 위한 적극적인 정책금융 지원뿐 아니라, 소비자 중심 업무관행 정착 등에 기여했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안정적 리더십, 풍부한 경험, 전문성을 바탕으로 중소기업 위기극복 지원과 미래 성장잠재력 확충, 디지털 환경 제공 등 목표를 충실히 이행할 적임자라고 평가했다.
특히 김 내정자는 김승경·조준희·권선주·김도진 전 행장에 이은 또 한 명의 공채 출신 CEO로 이름을 올리게 됐다.
이러한 결과는 '관치금융'을 둘러싼 잡음과 무관치 않은 것으로 풀이된다. 관료 출신 외부 인사에 대한 반대가 커지자 정부도 여론을 잠재우고 은행 안정을 도모하는 차원에서 방향을 틀었다는 분석이다.
그간 기업은행 안팎에선 김 내정자와 정은보 전 금융감독원장 등을 윤종원 현 행장의 후임자로 지목해왔다. '정은보 전 원장도 후보 중 한 명'이라는 김주현 위원장의 발언에 그의 발탁을 기정사실화하는 시선도 있었다. 인사권을 정부가 갖고 있을 뿐 아니라, 정책을 뒷받침하는 국책은행 특성상 친정부 성향 인물이 수장을 맡는 게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덧붙여 정 전 원장은 새 정부 출범과 맞물려 지난 6월 자진사퇴 했는데, 정부가 이를 감안해 그에게 기업은행장을 맡길 것이라는 관측도 흘러나왔다.
그러나 은행 내부의 반발은 상당했다. 조직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기재부·금융위 등 관료 출신 '낙하산 인사'가 수장을 맡으면 은행의 발전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이유에서다. 노조는 감독당국 수장이던 정 전 원장이 피감은행인 기업은행을 맡는 것은 공직자윤리법 상 퇴직자 취업제한 규정의 취지를 거스르는 행위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 가운데 은행 내부 출신 인사가 CEO로 낙점되자 기업은행 내부에선 환영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노조 역시 신임 행장의 경영철학을 예의주시하면서도 출근을 저지하는 등의 움직임은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전해졌다.
기업은행 측은 김 내정자에 대해 "미래기획실장과 마케팅전략부장, 전략그룹장 등을 지낸 '전략통'일뿐 아니라 소비자보호 등 업무 전반에 해박한 인물"이라며 "평소에도 직원들과 활발히 소통해 내부 신망이 두텁다"고 소개했다.
뉴스웨이 차재서 기자
sia0413@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