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사업화 다각화, AICC·물류에 로봇·케어·교육 추가2025년 AI 매출 1.3조 목표···글로벌 진출도 가시화"KT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AI 경쟁력 강화에 기여"
KT는 21일 서울 중구 노보텔 앰배서더 동대문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이런 내용의 'AI 사업 청사진'을 공개했다. 송재호 KT AI/DX 융합 사업부문장(부사장)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AI 기업으로서 그간 축적한 경험과 역량, 인프라와 노하우를 AI 사업에 그대로 적용해 고객 중심의 AI 서비스 프로바이더로 자리매김하겠다"고 힘줘 말했다.
KT는 AI 대전환 시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오는 2027년까지 ▲초거대 AI 기술(4조원) ▲AI 핵심 인프라인 클라우드·IDC 인프라 고도화(2조원) ▲AI 신사업 발굴 및 서비스 고도화(1조원) 등에 7조원을 쏟는다. 이 투자로 ▲초거대 AI 파라미터 스케일 확대 및 학습 기술 확보 ▲IDC 신축·증설 ▲AICC 인프라 고도화 등 최고 수준의 AI 기술 역량과 인프라를 확보, 이를 기반으로 KT AI 사업 경쟁력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송 부사장은 "KT의 미래 성장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전체의 AI 산업 경쟁력 수준을 끌어올릴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KT는 이와 함께 AI 사업다각화에도 나선다. 기존 AICC와 물류에 치중한 AI 사업을 ▲로봇 ▲헬스케어 ▲교육까지 넓혀, 2025년 AI 매출로만 1조3000억원을 달성한다는 목표다. 세부적으로는 ▲AICC가 3500억원 ▲물류가 5000억원 ▲로봇이 2000억원 ▲교육이 2000억원 ▲헬스케어가 500억원의 매출을 책임질 것으로 내다봤다.
KT는 회사가 가진 강점인 '딜리버리 체계'와 '로봇 플랫폼'을 기반으로 서비스로봇 보급 확산과 시장 성장을 주도한다는 방침이다. 로봇 딜리버리 체계는 고객 수요에 맞춰 로봇과 솔루션을 상품화하는 데서 더 나아가 로봇 도입부터 현장에서의 컨설팅, 사후관리까지 책임지는 토털 솔루션을 뜻한다. KT 로봇 플랫폼은 ▲AI 통합관제 ▲서비스 지능화▲ 핵심기술 확장성이 특징이다.
아울러 ▲서빙 로봇 ▲방역 로봇 ▲실내 배송 로봇으로 이뤄진 제품군을 ▲실외 배송 로봇 ▲공장용 소형 물류 로봇 ▲농업용 배송 로봇까지 연내 확대할 계획이다.
AI 기술을 활용한 만성질환 중심 '원격 케어' 서비스도 국내에서 시작한다. 원격 케어 서비스는 간호사·영양사 등 전문가로 구성된 '케어 코디네이터'가 AI 기술로 만성질환자의 데이터와 상담 기록을 분석, 얻어낸 '케어플랜'을 앱이나 전화로 제시하는 서비스다. 독거노인 등 취약 계층을 위한 AI 돌봄 케어 서비스를 TV로 확장한 '지니 TV 케어'도 론칭할 예정이다.
KT는 'AI 미래 교육 플랫폼'을 앞세워 교육의 디지털 혁신을 이끈다는 구상이다. 우선 연내 경기도교육청에 이 플랫폼을 즉시 적용한다. 또 EBS와 협력해 공교육 콘텐츠를 제공한다. 아울러 AI 디지털 교과서 등 정부 정책에 맞춰 교육 사업을 확대하는 한편, 사교육 시장까지 플랫폼 적용을 확대할 방침이다.
AI 사업의 글로벌 진출도 구체화한다. 싱가포르 1위 통신사 싱텔(Sing tel)및 현지 대표 물류 기업과 협력해 동아시아 물류 허브인 싱가포르 현지에 AI 운송 플랫폼을 선보인다. 또 베트남 헬스케어 법인 KT 헬스케어 비나(KT Healthcare Vina)를 설립, 암 환자와 만성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AI 케어서 비서를 올 하반기 상용화할 예정이다.
뉴스웨이 임재덕 기자
Limjd87@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