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금융 KB금융, 임기 만료 CEO만 10명···신임 선장 양종희 안정이냐 파격이냐

금융 금융일반

KB금융, 임기 만료 CEO만 10명···신임 선장 양종희 안정이냐 파격이냐

등록 2023.09.19 17:16

정단비

  기자

공유

계열사 11곳 중 9곳 CEO 임기 만료 앞둬신한·하나금융 등은 핵심 계열사 세대교체KB, 12월 인사할 듯···양종희 내정자 선택 주목

양종희 KB금융지주 회장 내정자(사진)가 올해 11월 임시주주총회를 통해 회장으로 선임될 예정인 가운데 KB금융의 계열사 11곳 중 9곳의 CEO들도 올해 말에서 내년 초 임기가 만료된다.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양종희 KB금융지주 회장 내정자(사진)가 올해 11월 임시주주총회를 통해 회장으로 선임될 예정인 가운데 KB금융의 계열사 11곳 중 9곳의 CEO들도 올해 말에서 내년 초 임기가 만료된다.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

KB금융지주의 수장이 10여 년 만에 바뀌는 가운데 지주 계열사 11곳 중 9곳의 CEO들도 올해 말 임기 만료를 앞두고 있다. 이에 양종희 KB금융지주 회장 내정자가 이번 인사에서 안정을 택할지, 대규모 교체를 통한 파격 인사를 실시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19일 KB금융에 따르면 계열사 11곳 가운데 올해 말에서 내년 초 임기 만료를 앞둔 곳은 KB국민은행, KB증권, KB손해보험, KB국민카드, KB자산운용, KB캐피탈, KB저축은행, KB부동산신탁, KB인베스트먼트 등 총 9곳이다.

이재근 KB국민행장을 비롯해 박정림·김성현 KB증권 대표이사, 김기환 KB손해보험 대표이사, 이창권 KB국민카드 대표이사, 이현승 KB자산운용 대표이사, 황수남 KB캐피탈 대표이사, 허상철 KB저축은행 대표이사, 서남종 KB부동산신탁 대표이사, 김종필 KB인베스트먼트 대표이사 등 총 10명의 대표이사가 임기 만료를 앞둔 CEO들이다. 나머지 이환주 KB라이프생명 대표 및 김명원 KB데이타시스템 대표는 임기가 내년 말까지다.

통상 KB금융은 12월 중순에서 말께 계열사 CEO들의 인사를 진행해 왔다. 지난해의 경우 KB금융은 계열사 CEO 인사에서 임기 만료를 앞둔 8개 계열사 중 7개 계열사의 대표이사들을 재 추천했었다. 윤종규 회장이 올해 11월 임기 만료를 앞뒀던 만큼 변화보다는 안정을 택했던 것으로 풀이된다.

올해는 KB금융의 수장도 윤 회장에서 양 내정자로 바뀔 예정으로, 향후 인사에 대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윤 회장은 앞서 용퇴를 결정했고 양 내정자는 KB금융지주 회장후보추천위원회를 거쳐 최종 후보자로 낙점됐다. 양 내정자는 오는 11월 임시주주총회에서 대표이사 회장으로 선임될 예정이다. 이에 올해 계열사 CEO들의 인사도 여느 때와 같이 12월에 이어질 전망이다.

양 내정자는 지난 11일 향후 조직개편 및 방향성에 대해 "계열사 사장 선임은 절차상 이사회와 협의하게 되어있기 때문에 이사진과 충분히 협의할 것"이라면서도 "다만 계열사 경쟁력을 도모할 수 있는지, 임직원들의 헌신적 노력을 이끌어낼 수 있는 리더십 등을 고려해 적극 발굴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업계에서는 지난해 KB가 안정을 택했다는 점에서 올해 인사 폭이 클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번 인사는 양 내정자가 회장에 오른 뒤 첫 인사가 될 예정으로 그가 KB의 새로운 비전을 추진하고 세대교체를 꾀하기 위해서는 조직 재정비에 나설 수 있다는 풀이다.

KB금융은 보통 계열사 CEO들의 임기를 처음 2년, 연임 시 1년으로 해왔다. 지난해 1월 선임돼 2년의 임기를 보낸 이 행장 정도를 제외하고는 나머지 계열사 CEO들은 3년 이상 회사를 이끌어왔다. 세대교체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는 배경이다.

또한 타 금융지주사들의 사례를 비추어 보면 지주 수장이 바뀌면서 핵심 계열사들의 CEO들도 교체됐다. 신한금융지주는 진옥동 회장이 새롭게 이끌게 됨에 따라 지난해 말 계열사 CEO 인사에서 은행, 카드, 보험 등 핵심 계열사들에 대한 세대교체를 택했다. 지난해 초 회장에 오른 함영주 하나금융지주 회장 역시 지난해 말 취임 후 첫인사에서 은행, 증권, 카드 등 주요 계열사들의 CEO를 모두 교체했다. 앞으로 지주를 이끌어감에 있어 회장과 손발을 맞출 주요 핵심 계열사 대표들을 위주로 변화를 꾀했다. 양 내정자도 이같은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는 해석이다.

물론 이번 인사에서 대대적인 인사보다는 한 박자 쉬어갈 가능성도 없진 않다. 11곳 중 9곳의 계열사들을 한꺼번에 교체하기에는 부담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조직 안정을 위해 보다 점진적으로 계열사 CEO들을 교체해 나갈 수도 있다는 얘기다.

또 하나의 관심사는 부회장직 유지 여부다. 현재 KB금융은 양 내정자를 포함해 허인 KB금융지주 부회장, 이동철 KB금융지주 부회장 등 총 3명의 부회장을 두고 있다. 이들은 양 내정자와 함께 차기 회장 자리를 두고 경쟁을 벌이기도 했다. 이에 부회장직 유지 여부 및 허 부회장 및 이 부회장의 거취 여부 등이 계열사 CEO 인사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예상도 나온다.

금융권 관계자는 "양 내정자와 회장 경쟁을 벌였던 분들의 거취와 부회장직 유지 여부가 우선 결정이 돼야 계열사 CEO들의 인사도 순차적으로 이뤄질 수 있지 않을까 싶다"며 "만약 부회장직을 유지한다면 현재 계열사 CEO들이 이동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