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에 따르면 KDI는 14일 이런 내용의 '수정 경제전망'을 발표했다. KDI는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2.2%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해 11월 내놓은 성장률 전망치를 그대로 유지한 것으로, 국내외 주요 기관의 전망치도 비슷하다. 지난달 기획재정부는 올해 성장률을 2.2%로 내다봤고, 지난해 11월 한국은행은 2.1%를 제시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국제통화기금(IMF)의 가장 최신 전망치는 각각 2.2%와 2.3%다.
KDI는 기존 전망을 유지하면서도 부문별로는 차이가 있다고 짚었다. 수출은 반도체를 중심으로 강건한 회복세가 예상되지만 내수 증가세는 약하다는 것이다.
KDI는 총수출 증가율 전망치를 기존 3.8%에서 4.7%로 0.9%포인트 높였다. 경상수지 흑자 폭 전망치도 기존보다 136억달러 확대된 562억달러로 수정했다. 반면 내수 부진은 심화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반면에 민간소비 증가율 전망치는 1.8%에서 1.7%로, 설비투자 증가율 전망치는 2.4%에서 2.3%로 내렸다. 상품 소비와 서비스 소비 모두 부진한데 특히 금리 영향을 많이 받는 상품 소비가 더 위축된다고 봤다. 최근의 부동산 경기 하락으로 건설투자는 1.4% 감소할 것으로 내다봐, 기존 전망(-1.0%)보다 하향 조정 폭이 컸다.
정규철 KDI 경제전망실장은 "민간소비 부진의 원인인 고금리가 당분간 유지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올해는 민간소비가 개선되기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소비자물가는 올해 2.5% 상승할 것으로 예상됐다. 기존 전망보다 0.1%포인트 낮춘 것이다. 내수 부진으로 물가 상승세가 기존 전망보다 다소 빠르게 둔화할 것이라고 KDI는 판단했다. 특히 상반기(2.9%)보다 하반기(2.3%)에 낮아지고, 올해 말에는 물가 상승세가 물가안정목표(2.0%)에 근접할 것으로 예상했다.
식료품 및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물가 상승률은 기존 전망보다 0.1%포인트 낮은 2.3%로 예상했다.
정 실장은 '기준금리 인하 시점'에 대한 질문에 "물가 흐름이 전망했던 수준으로 간다면 정책 기조를 조정하는 논의도 있을 수 있다"고 답했다. 하반기 들어 낮아지는 물가 상승세 흐름이 유지된다면 기준금리를 낮출 수도 있다는 의미다.
올해 두바이유 도입 단가 전제는 배럴당 84달러에서 81달러로 낮췄다.
KDI는 대외 위험 요인으로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위험과 중국 경기가 부동산 부문을 중심으로 급락할 가능성을 꼽았다.
정 실장은 "중국 성장세가 얼마나 빨리 둔화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며 "예상과 상당히 다른 방향으로 전개된다면 성장률이 2% 내외까지 하락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뉴스웨이 김선민 기자
minibab35@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