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22일 금요일

  • 서울 4℃

  • 인천 2℃

  • 백령 7℃

  • 춘천 1℃

  • 강릉 5℃

  • 청주 4℃

  • 수원 2℃

  • 안동 1℃

  • 울릉도 9℃

  • 독도 9℃

  • 대전 2℃

  • 전주 5℃

  • 광주 5℃

  • 목포 7℃

  • 여수 9℃

  • 대구 5℃

  • 울산 8℃

  • 창원 8℃

  • 부산 8℃

  • 제주 8℃

금융 "상품 못 팔고, 총선 전 배상까지"...상반기 은행 실적 'ELS'에 달렸다

금융 은행

"상품 못 팔고, 총선 전 배상까지"...상반기 은행 실적 'ELS'에 달렸다

등록 2024.02.20 06:00

수정 2024.02.28 15:23

이수정

  기자

공유

은행 ELS 판매 중단···장기화할 경우 부정적 영향19일 F4 회의서 은행권 책임 강화로 중론 모아져배상 규모 작지 않을 전망인 가운데 은행들 골머리

그래픽=뉴스웨이DB그래픽=뉴스웨이DB

홍콩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대규모 손실 사태에 올해 시중은행들의 실적이 휘청거릴 전망이다. ELS 등 파생상품 소비심리가 뚝 떨어진 가운데 ELS 배상 비율이 확정되면 추가적인 충당금을 쌓아야 해서다. 특히 감독 당국은 물론 대통령실에서도 ELS 사태 해결의 초점을 은행권 책임 분담 강화로 잡고 있는 데다 총선 전 배상 확정을 강조하는 상황이라 배상액 규모가 작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NH농협·SC제일은행 등에서 판매한 홍콩H지수 ELS 만기 손실액은 지난 15일 기준 6362억원으로 집계됐다. 확정 만기 손실률은 54.2% 수준으로 원금의 절반 이상이다. 손실 규모는 향후 더 불어날 가능성이 높다.

홍콩H지수가 고점이던 2021년 판매된 상품들의 만기가 돌아오는 가운데 홍콩H지수 ELS 만기 상환 금액은 올해 상반기에만 10조2000억원에 이른다. 월별로 1월 9172억원, 2월 1조6586억원, 3월 1조8170억원이며 2분기에는 6조3000억원이 예정됐다. 금융권은 홍콩H지수가 현재 흐름을 유지할 경우 전체 손실액은 상반기에만 최대 7조원까지 불어날 수 있다고 전망한다.

대규모 손실 사태가 벌어지자 대부분 시중은행들은 즉각 ELS 상품 판매를 잠정 중단했다. NH농협은행은 지난 10월 일찌감치 판매 중단을 선언했고 뒤이어 하나은행, 신한은행, KB국민은행도 판매를 멈췄다. 당시 은행은 "H지수 ELS 상품으로 손실 발생한 고객 사후관리 및 영업점 현장 지원에 집중하겠다"며 "차후 시장 안정성 및 소비자 선택권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판매 재개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ELS 뿐 아니라 파생상품 소비 심리도 뚝 떨어졌다. 은행권 관계자는 "ELS 사태가 불거진 이후 아무래도 파생상품을 찾는 소비자들이 줄어든 것은 사실"이라며 "파생상품이 판매 중지 등이 장기화할 경우 실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다만 비이자이익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지는 않기 때문에 당장 큰 손실로 이어지진 않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 지난해 5대 시중은행의 비이자이익은 전년 대비 70% 이상 늘어난 2조9437억원을 기록했지만 이는 이자이익(41조3878억원)의 6% 수준에 그친다. 이 가운데서도 외환이나 유가증권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이 파생상품 수수료에 비해 월등히 높다.

지난달 1일 19일 오후 서울 여의도에 위치한 금융감독원 본원 앞에서 ELS 투자 피해자 집회를 열었다. 사진=한재희기자지난달 1일 19일 오후 서울 여의도에 위치한 금융감독원 본원 앞에서 ELS 투자 피해자 집회를 열었다. 사진=한재희기자

이보다 더 큰 문제는 ELS 배상안 규모가 확정된 이후다. 금감원은 홍콩 ELS 판매 규모가 가장 큰 KB국민은행과 한국투자증권을 시작으로 1차 검사를 진행했다. 현재 금감원에 제기된 민원만 3000여 건에 달하는 가운데 감독 당국은 16일 2차 검사에 돌입했다. 당국은 판매 과정의 '적합성 원칙' 위반 사례 등을 따져 본 이후 늦어도 3월 내에 결론을 낼 방침이다.

이 가운데 이날 진행된 비공개 간담회인 'F4'(기획재정부 장관·금융위원장·금융감독원장·한국은행 총재) 회의 이후 대통령실에서는 "ELS 상품이 고위험 상품임에도 불구하고 마치 손실 위험이 적은 안전한 상품인 것처럼 고령층에게 판매하는 행위가 적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며 "총선 전 배상하는 방안이 유력하다"고 밝혔다. 이는 은행권의 배상 규모가 절대 작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대목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ELS사태가 총선 전후로 가장 핫한 이슈인 가운데 총선 전 배상안 규모가 확정되면 충당금이나 예비비의 형태로 배상 예정액이 빠지면서 상반기 실적에도 악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다"며 "다만 ELS 사태는 과거 DLF와는 달리 상품 자체에 문제가 있는 게 아니기 때문에 각 은행이 케이스별로 배상 규모를 확정하는 데 짧지 않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