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2월 12일 수요일

  • 서울

  • 인천

  • 백령

  • 춘천

  • 강릉

  • 청주

  • 수원

  • 안동

  • 울릉도

  • 독도

  • 대전

  • 전주

  • 광주

  • 목포

  • 여수

  • 대구

  • 울산

  • 창원

  • 부산

  • 제주

금융 가계대출 10개월 만에 감소세 전환···주담대 증가폭 축소

금융 금융일반

가계대출 10개월 만에 감소세 전환···주담대 증가폭 축소

등록 2025.02.12 12:00

이지숙

  기자

공유

금융당국, 1월 가계대출 동향 발표 전 금융권 가계대출 9000억원 감소

그래픽=금융위 제공그래픽=금융위 제공

전 금융권 가계대출이 10개월 만에 감소세로 전환됐다. 대내외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명절 상여금 및 겨울철 주택거래 둔화 등 계절적 요인이 반영된 결과로 분석된다.

12일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2025년 1월 중 가계대출 동향(잠정)'에 따르면 1월 중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총 9000억원 감소해 지난해 12월 대비 감소세로 전환됐다. 월별 전 금융권 가계대출이 전월 대비 감소세를 보인 것은 지난해 3월 이후 처음이다.

주택담보대출은 3조3000억원 증가해 전월 대비 증가폭이 소폭 축소됐다. 은행권은 지난해 12월 8000억원에서 1월 1조7000억원으로 증가폭이 확대됐으나 제2금융권은 같은 기간 2조6000억원에서 1조6000억원으로 증가폭이 줄었다.

기타대출은 4조2000억원 감소해 전월 대비 감소폭이 확대됐다. 이는 제2금융권 감소폭이 지난해 12월 3000억원에서 올해 2월 2조원으로 늘어난 점 등에 기인했다.

업권별로 살펴보면 은행권 가계대출 감소폭은 전월 수준을 유지했으며 제2금융권은 감소세로 전환됐다. 은행권 주담대는 연초 영업재개 및 자율관리 완화 등으로 전월대비 증가폭이 확대됐고, 정책대출은 꾸준한 증가세를 유지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1월 중 은행권 가계대출은 4000억원 감소해 지난해 12월과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다. 정책성대출은 전월 대비 증가폭이 2000억원 축소된 2조3000억원으로 집계됐고 은행 자체 주담대는 감소폭이 12월 1조7000억원에서 1월 6000억원으로 줄었다.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은 전월 대비 감소폭이 커졌다.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5000억원 줄어 전월대비 감소세로 전환됐다. 상호금융권과 보험은 전월 대비 감소세로 전환했고 여전사의 경우 감소폭이 축소됐다. 단 저축은행의 경우 1월 가계대출 증가액이 2000억원을 기록해 증가폭이 소폭 확대됐다.

금융위 관계자는 "안심할 상황은 아니며 본격적인 영업 개시와 신학기 이사수요 등이 더해져 2월부터는 가계대출이 증가세로 전환할 가능성이 높은 만큼 가계부채의 안정적 관리를 위해 주택시장·금리 동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최근 지방을 중심으로 미분양 주택이 증가하고 건설투자 감소세가 지속되는 등 어려운 상황임을 감안해 당분간은 지방으로의 자금공급 현황 등에 대해서도 면밀히 살펴볼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