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2월 14일 금요일

  • 서울 -1℃

  • 인천 -1℃

  • 백령 4℃

  • 춘천 -5℃

  • 강릉 1℃

  • 청주 -2℃

  • 수원 -2℃

  • 안동 -2℃

  • 울릉도 6℃

  • 독도 6℃

  • 대전 -2℃

  • 전주 -1℃

  • 광주 -3℃

  • 목포 1℃

  • 여수 2℃

  • 대구 -1℃

  • 울산 2℃

  • 창원 -1℃

  • 부산 1℃

  • 제주 1℃

금융 금감원, 카드배송 사칭 보이스피싱 증가에 소비자경보 '경고' 발령

금융 카드

금감원, 카드배송 사칭 보이스피싱 증가에 소비자경보 '경고' 발령

등록 2025.02.13 14:41

김명재

  기자

공유

사진=금융감독원 제공사진=금융감독원 제공

금융감독원이 기관을 사칭한 가짜 카드배송 보이스피싱 증가에 대해 소비자경보를 기존 주의에서 경고로 상향했다.

13일 금감원은 이같이 밝히며 보이스피싱 범죄에 대해 금융소비자들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금융당국이 지난해 하반기 발생한 보이스피싱 고액피해(2억원 이상) 피해사례를 자체분석한 결과 피해자의 약 80%가 여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60대 여성이 과반수를 차지했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의 경우 강남3구 피해액이 서울 전체 피해액의 30%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기범들은 신청하지 않은 카드가 발급되었다고 피해자가 오인하게 만들어 카드사 고객센터로 위장한 사기범들의 연락처로 전화하게 유도한다. 다만 종전에는 카드배송 미끼문자를 발송하는 방식으로 전화를 유도했으나 문자차단 대책 등이 시행됨에 따라 배송원을 사칭해 전화하거나 위조된 실물카드를 직접 배송하러 방문하는 등 적극적인 범행을 시도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금융소비자가 가짜 고객센터로 전화시 개인정보 유출로 명의가 도용됐다며 보안점검, 악성앱 검사, 사고접수 등을 명목으로 앱 설치를 유도하면서 실제로는 원격제어앱을 설치한다. 원격제어앱을 통해 사기범들이 악성앱까지 설치할 경우 금감원이나 검찰청 공식번호로 전화해도 사기범들에게 연결되므로 의심하기 더욱 어렵고, 사기범들은 위치추적, 녹음 등까지 가능하게 된다.

또 검찰과 금감권을 사칭한 정교한 시나리오로 피해자를 이른바 '가스라이팅'하는 수법도 존재한다. 사칭 사기범이 피해자가 연루된 사기범죄로 다수 피해자가 발생해 구속수사한다고 협박하면, 금감원 직원 등을 사칭한 다른 사기범은 약식수사 등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고 하면서 피해자와의 강한 신뢰관계를 형성시켜 피해자의 심리를 지배한다.

최근 금융앱 보안강화 등에 따라 악성앱, 대포폰 등을 통해 사기범이 이체하는 방식이 어려워지자, 사기범들은 자산보호, 약식기소 공탁금 등의 명목으로 피해자를 속여 피해자 스스로 사기범에게 자금을 이체하도록 수법을 변경하기도 했다.

소비자 본인이 카드를 신청하지 않은 경우 배송직원이 알려준 번호가 아닌 카드사 홈페이지·앱·콜센터 전화번호를 통해 경위를 확인해야 한다. 확인 결과, 카드배송 사칭을 통한 보이스피싱이 의심되는 경우 경찰청 통합신고대응센터를 통해 상담·신고할 수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URL 링크를 통한 출처가 불분명한 앱뿐만 아니라 공식 앱스토어의 앱 다운로드를 요구하더라도 거절해야 한다"며 "카드사 등 금융회사와 금감원 등 공공기관은 앱설치를 요구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향후 금융감독원은 금융권뿐 아니라 범정부 태스크포스(TF) 등을 통해 관계 부처와도 긴밀히 공조해 보이스피싱의 근원적 차단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