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총재는 24일 미국 CNBC와의 인터뷰에서 "한국은 수출 위주의 경제인 만큼 통상 갈등이 확실히 큰 역풍"이라며 "미국 관세의 영향을 받을 뿐 아니라 다른 나라에 대한 미국 관세로부터도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국내 기업의 베트남 내 반도체 생산, 멕시코 내 자동차·전자제품 생산, 캐나다 내 한국 배터리 생산 등에 따른 것이다.
단 이 총재는 국내 기업이 그동안 중국 의존도를 줄이며 통상갈등 이전부터 준비해온 만큼 현 상황에 빠르게 적응 가능하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 기업들이) 지난 5년간 공급망을 다변화했고 특히 중국의 정치적 이슈에 따라 중국 의존도를 줄여왔다"며 "경쟁국들과 비교해 통상갈등 이전부터 준비해온 만큼 (빠르게) 적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최근의 통상갈등으로 공급망 다변화는 더 빨라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올해 우리나라 성장률 전망치에 하향 조정에 대해서는 미국과 통상 협상 과정 이후에 답변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을 아끼는 모습을 보였다. 이날 한은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은 전분기 대비 0.2% 감소했다,
이 총재는 "경제·통상 관련 장관들이 내일 미국과 회담할 예정인데 그 이후에 생각해 볼 수 있을 것 같다"며 "변수가 많아 현재로선 전망이 힘든 상황"이라고 말했다.

뉴스웨이 이지숙 기자
jisuk618@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