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인력 확충 없이 배송권역·근무일 확대지속 불균형 구조에 노동자 과로 심화 우려소비자 만족 뒤에는 근로자 보호 필요성 대두
9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업계 전반에서 배송 서비스가 주말과 휴일까지 확대되고 있지만, 인력 충원 없이 기존 인력의 근무 일수와 배송 권역이 늘어나 과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7월 폭염이 이어지는 가운데, 무리한 운영이 기사들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주7일 배송은 이제 이커머스 업계의 기본값이 됐다. SSG닷컴, 지마켓은 CJ대한통운과 협업한 '스타배송'으로 주말 포함 합배송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11번가는 '슈팅배송'을, 카카오스타일의 지그재그는 '직진배송'을 통해 토요일과 일요일 주문도 익일 도착으로 전환했다. 에이블리도 자체 빠른배송 상품에 대해 주7일 배송을 적용했다. 홈쇼핑 업계 역시 CJ온스타일, NS홈쇼핑 등 다수 채널이 주7일 배송을 운영 중이다.
이러한 유통업계의 시스템에 맞춰 CJ대한통운은 지난 1월 '매일 오네(O‑NE)' 브랜드를 통해 주7일 배송을 시작했고, 한진택배도 4월부터 수도권 및 전국 주요 도시를 중심으로 시범 운영을 시작했다. 롯데택배 역시 제도 도입을 위한 논의를 진행 중이다.
유통업계 및 배송업체 입장에서는 쿠팡의 '로켓배송'에 뒤처지지 않기 위한 전략적 선택이지만, 구조적 문제는 여전하다. CJ대한통운과 한진택배 등은 백업 기사 체계 없이 기존 기사들이 돌아가며 주말 근무를 맡는 구조다. 특히 평일에는 여러 명이 나눠 맡던 구역을 일요일에는 한 명이 전담해야 하는 방식이 많아, 배송 면적은 넓고 효율성은 낮아진다. "주말엔 물량은 적어도 지역은 2~4배 넓어 이동 시간만 길어지는 비효율적인 구조"라는 평가가 나온다.
이 같은 운영 부담은 연이은 폭염과 겹치면서 기사들의 피로를 누적시키고 있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7월 8일 기준 경북 구미에서 온열질환이 의심되는 사망사고가 발생했다. 같은 날 질병관리청은 5월 15일부터 7월 6일까지 온열질환자가 875명, 이 중 사망자 7명이라고 밝혔다.
다만 먼저 주 7일 배송을 시작한 쿠팡과 컬리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운영 체계에 안착하고 있다. 쿠팡은 CLS(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와의 계약에서 '백업 기사' 보유를 필수 조건으로 설정하고 있으며, 직영 인력인 '쿠팡친구'를 통해 유급 휴가나 대체 인력 투입이 가능하다. 쿠팡 관계자는 "CLS는 대리점이 백업기사를 둬야 계약이 가능하며, 쿠팡퀵플렉서는 용차 비용 없이 휴가를 낼 수 있다"고 밝혔다.
컬리도 정규직 배송 인력인 '샛별크루'에 대해 주5일 근무 원칙을 유지하며, 지입 기사 역시 주7일 연속 근무를 하지 않도록 관리하고 있다. 컬리 관계자는 "컬리의 정규직 배송 매니저인 샛별크루는 철저하게 주5일 근무를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계약된 지입사 배송 매니저도 적정한 휴일을 보장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업계 관계자는 "주7일 배송은 소비자 만족도 제고에는 효과적이지만, 인력과 구조가 뒷받침되지 않으면 서비스 품질도 결국 무너질 수 있다"며 "배송 편의성 확보와 노동자 보호 간 균형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뉴스웨이 조효정 기자
queen@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