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획연재
[인포그래픽 뉴스]3000원으로 못 사먹는 김밥, 얼마나 올랐나 보니
만원으로 김밥 한 줄과 짜장면 한 그릇을 동시에 먹는 게 불가능해졌습니다. 치솟아버린 물가, 내려가는 날이 오긴 할까요?
[총 7건 검색]
상세검색
기획연재
[인포그래픽 뉴스]3000원으로 못 사먹는 김밥, 얼마나 올랐나 보니
만원으로 김밥 한 줄과 짜장면 한 그릇을 동시에 먹는 게 불가능해졌습니다. 치솟아버린 물가, 내려가는 날이 오긴 할까요?
리빙
[카드뉴스]재료값 내려도 올라간다···소비자만 죽어나는 '외식 물가'
외식을 하러 식당에 갔다가 치솟은 가격 때문에 메뉴 선정에 어려움을 겪은 분들이 많습니다. 원가 상승을 이유로 치솟은 외식 물가. 하지만 곳곳에서 이상한 부분이 발견되고 있는데요.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 10월 쇠고기와 돼지고기의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10월과 비교해 소폭 하락했습니다. 국산 쇠고기 소비자물가는 3.1%, 수입 쇠고기는 0.1%, 돼지고기는 0.2% 떨어졌습니다. 하지만 소비자물가 하락과 달리 외식 물가는 소고기의 경우 2.2%
리빙
[카드뉴스]이제 7천원은 있어야 짜장면 먹는다···이게 다 양파 탓?
물가가 올라서 장 보는 게 두려울 지경입니다. 밥상물가가 치솟았는데 외식물가라고 오르지 않을리 없는데요. 한국소비자원 참가격의 외식가격동향에 따르면 주요 외식품목 8종의 가격은 1년 새 10.4% 올랐습니다. 가격이 가장 많이 오른 외식품목은 삼겹살로 200g당 지난해 2월 1만7159원에서 올해 2월엔 1만9236원으로 2077원 인상됐습니다. 삼계탕은 1만4500원에서 1만6115원으로 1615원 올라 뒤를 이었습니다. 가격인상률이 가장 높은 품목은 짜장면입니다. 5769원
리빙
[카드뉴스]'물가인상 폭풍' 반려동물 양육비도 1년 새 25% 늘었다
지난해부터 몰아치고 있는 물가인상의 폭풍. 지난달에도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5.2% 인상됐습니다. 지난해 5월부터 매월 전년 대비 5% 이상 급등하는 물가에 수많은 국민들이 고통을 받고 있습니다. 물가인상의 여파는 반려동물 양육 가구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전국의 20∼64세 5000명을 조사한 결과, 25.4%가 현재 거주지에서 반려동물을 직접 양육 중인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반려동물 양육 가구 중 75.6%는 개를, 27.7%는
[뉴스웨이TV]'전기료 인상' 보고 묵살한 文 정부?···권성동 "새 정부에 탈원전 비용 떠넘겨"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1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했다.
車 유지비 25%↑ 부담 커···'유류비·타이어·세차비' 인상
차량 유지비가 오르면서 자가 운전자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 러시아발 전쟁 여파로 유류비 인상과 더불어 소포품, 주차료, 대리운전 이용료 등 각종 차량 유지비가 1년전 대비 25%이상 올랐다. 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5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7.56(2020=100)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5.4% 올랐다. 지출 목적별로 보면 12개 부문 가운데 교통 물가 상승률이 14.5%로 가장 높았다. 교통 물가는 자동차 등 운송장비, 개인 운송장비 운영비, 운송
상의 등 14단체 "산업용 전기료 인상 경쟁력 약화 원인"
한전의 전기요금 기습인상에 대해 산업계가 ‘중소기업의 원가부담 상승과 주력산업의 경쟁력 약화’를 들어 일제히 부정적 입장을 나타냈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를 비롯한 14개 경제단체는 10일 “최근 우리 기업들은 내수와 수출의 동반침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전기요금마저 추가 인상된다면 기업경영을 더욱 어렵게 하고 산업경쟁력도 약화될 수 있다”며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지식경제부, 기획재정부 등에 산업계 전기요금의 대폭 인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