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기·전자
"이러지도 저러지도"···삼성전자, '영업익 5조說'에 불편
삼성전자의 2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증권가에서는 영업이익이 6조원 미만에 그칠 것이란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반도체 부진, 보호무역, 관세 부담 등이 실적을 압박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하반기에는 HBM 공급 확대, 신제품 출시 등으로 반등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총 668건 검색]
상세검색
전기·전자
"이러지도 저러지도"···삼성전자, '영업익 5조說'에 불편
삼성전자의 2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증권가에서는 영업이익이 6조원 미만에 그칠 것이란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반도체 부진, 보호무역, 관세 부담 등이 실적을 압박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하반기에는 HBM 공급 확대, 신제품 출시 등으로 반등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건설사
삼성물산, 영업이익 주춤···3년 연속 '1조 클럽' 달성 먹구름
삼성물산 건설부문의 실적이 올해 들어 급격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절반에도 못 미친 데 이어, 2분기 역시 부진한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면서 '1조 클럽' 유지에도 경고등이 켜졌다. 1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삼성물산 건설부문의 올해 1분기 매출액은 3조6201억원, 영업이익은 1587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5.2%, 52.8% 감소했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2023년과 지난해 연속으로 영업이익 1조원
건설사
한화 건설부문, 매출 축소에도 수익성 증대 비결은?
㈜한화 건설부문이 대규모 프로젝트 재개와 신성장동력 확보, 조직 효율화 등 다각도의 전략을 통해 상승 동력을 다지고 있다. 1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한화 건설부문의 올해 1분기(1~3월) 매출액은 6536억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32% 감소하는 등 외형 축소가 두드러진다. 이는 플랜트 및 해상풍력 사업 부문을 한화오션에 양도한 영향과 대형 프로젝트 공백, 국내외 건설 경기 침체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반면 영업이익은 130억
증권·자산운용사
배형근 현대차증권 사장, 보통주 5100만원 어치 추가 취득
현대차증권은 배형근 사장이 보통주 6950주를 장내 매수 방식으로 취득했다고 11일 공시했다. 취득단가는 보통주 1주당 7334원으로, 지난 10일 장내매수로 취득했다. 이번 주식 매입으로 배 사장이 보유한 현대차증권 주식은 기존 1만9877주에서 2만6827주로 늘었다. 이는 발행 주식 수의 0.04%이다. 앞서 배 사장은 지난해 4월 보통주 1주당 8986원에 약 1억원 규모(1만1130주)의 자사주를 장내에서 매입했다. 지난 3월엔 유상증자 구주주 청약에서 최대 참여 가능한 배
전기·전자
SK하이닉스, 올해 삼성전자 전체 영업이익도 뛰어넘나
SK하이닉스의 독주가 이어지고 있다. 고대역폭메모리(HBM) 효과에 힘입어 사상 처음으로 D램 시장점유율 1위로 등극한 데 이어 올해 연간 영업이익에서도 삼성전자 전체 영업이익을 뛰어넘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9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올해 SK하이닉스의 연간 영업이익 추정치는 전년 대비 53.8% 증가한 36조876억원으로 예상된다. 특히 이는 삼성전자의 반도체를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과 디바이스경험(DX) 부문 등 전사
식음료
하이트진로, 1Q 영업익 29.7%↑···"비용 효율화"
하이트진로는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627억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29.7% 증가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6128억원으로 1.3% 감소했으나 순이익은 380억원으로 45.2% 늘었다. 하이트진로 관계자는 "경기 침체와 소비 위축 속에서도 지속적인 비용 효율화를 통해 영업이익이 늘었다"고 말했다.
식음료
대상, 1Q 영업익 20.1%↑···"수출 개선·라이신 판매 확대"
대상이 1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 573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20.1% 증가했다. 매출은 1조1304억원, 순이익은 284억원으로 각각 8.2%, 37% 상승했다. 수출 실적 개선, 라이신 판매 단가 및 판매량 확대, 원가 효율화, 환율 상승 등이 실적 성장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식음료
빙그레, 1Q 영업익 36.1%↓···"원가 부담·통상임금"
빙그레가 1분기 영업이익 135억 원으로 전년 대비 36.1% 감소했으며, 순이익도 36.8% 줄어든 116억 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2.5% 증가했으나 원부자재 가격 인상과 통상임금 적용에 따른 인건비, 판매관리비가 실적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식음료
삼양식품, 1Q 영업익 67%↑···분기 최대 실적
삼양식품이 1분기 영업이익 1340억원으로 전년 대비 67% 증가해 분기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매출은 5290억원이며, 해외매출이 4240억원으로 처음 4000억원대를 돌파했다. 미국·중국·유럽 등 해외법인 성장과 불닭브랜드 인기로 실적이 크게 개선됐다.
식음료
오리온, 1Q 영업익 5%↑···해외 실적 호조
오리온이 1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 1314억원을 달성하며 전년 동기 대비 5% 증가했다. 매출도 7.1% 늘어 8018억원을 기록했다. 해외 법인의 실적 호조와 한국법인의 수출 증가로 글로벌 매출 비중은 68%로 확대되었으며, 중국, 러시아, 베트남 등 주요 시장에서 고성장세를 보였다.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