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답기업 61.2% “평가에 업종별 특성 고려해야”
동반성장위원회가 매년 동반성장지수를 발표하는 가운데 기업 다수는 현행 상대평가 및 공표 방식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30일 전경련중소기업협력센터(협력센터)가 발표한 ‘동반성장지수에 대한 주요 기업의 인식 및 보완과제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기업의 61.2%가 ‘업종별 특성을 고려하지 않는 획일적 평가방식’을 문제점으로 꼽았다.
또한 ▲‘동반성장 실행부담에 비해 미흡한 인센티브 제도’(24.0%) ▲‘동반성장지수 평가대상 기업 선정기준 및 절차’(7.8%) ▲‘평가결과에 대한 피드백 및 이의신청 절차 미흡’(7.0%) 순으로 답했다.
동반성장지수 평가 방식 보완과제로는 응답기업 41.4%가 ‘업종별·규모별 특성에 따라 평가방식 다양화’를 택했고 ▲‘상대평가를 절대평가로 바꾸고 졸업기준 제시’(31.4%) ▲‘상위평가 기업만 발표하고 하위평가 기업은 미발표’(10.0%)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업종별·규모별 특성에 따라 평가방식 다양화가 필요하다고 응답한 기업의 대부분(68.9%)은 도소매·식품과 건설업종에 속한 기업인 것으로 조사됐다.
동반성장지수를 평가받는 기업은 자동차·조선업체 부터 도소매·식품업체까지 다양한 업종의 대기업, 중견기업들로 구성돼 있다. 하지만 기업의 특성과 여건을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상대평가 후 결과를 4개 등급으로 나눠 발표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지난 2년간 동반성장지수 평가 결과 도소매·식품 및 건설업종 기업의 하위 2개 등급(양호·보통) 차지 비율이 2012년 57.1%, 2013년 62.7%로 나머지 4개 업종에 속한 기업들보다 높았다.
이와 관련 건설업계 관계자는 “수년간 지속된 건설경기 침체로 협력사 지원이 어려울 뿐 아니라 협력사와의 거래관계가 제조업과 달리 일시적인 경우가 많아 건설기업 대다수가 하위등급을 받는 것은 어쩔 수 없는 구조적 특성”이라고 말했다.
동반성장지수의 도입 및 시행성과에 대해서는 ‘동반성장에 대한 경제계 인식제고·문화확산’(50.6%)이 가장 많았고 ▲‘하도급 공정거래 제도 정비 등 상생협력 기반확충’(26.6%) ▲‘대기업의 동반성장 추진시스템 구축과 경쟁력 강화’(15.2%) ▲‘협력사 경쟁력 제고 및 경영성과 개선’(5.1%) 순으로 답변이 이어졌다.
동반성장지수의 부담요소로는 ▲‘하위 등급을 받았을 경우 기업의 부정적 이미지 확산’(50.7%) ▲‘대기업에 부담을 주는 일방적인 동반성장 정책추진’(20.5%) ▲‘평가방식의 구조적 문제점으로 하위등급을 받을 수밖에 없는 실정’(15.1%) ▲‘평가를 잘 받기 위한 불필요한 사업추진 등 경영자원 낭비’(13.7%) 등이 제기됐다.
배명한 협력센터 소장은 “동반성장지수 시행으로 대기업의 협력사 지원이 늘어난 것은 사실이지만 상대평가로 불필요한 동반성장 사업을 추진하거나 하위등급 업종이 고착화되면서 기업의 동반성장 의지가 약화되는 등 부작용도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향후 본 센터 주관으로 평가기업 업종별 간담회를 통해 기업의 의견을 수렴해 업종과 규모에 맞는 합리적인 평가체제 개편이 이뤄지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차재서 기자 sia0413@
뉴스웨이 차재서 기자
sia0413@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