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23일 토요일

  • 서울 3℃

  • 인천 3℃

  • 백령 5℃

  • 춘천 -2℃

  • 강릉 3℃

  • 청주 1℃

  • 수원 1℃

  • 안동 -4℃

  • 울릉도 8℃

  • 독도 8℃

  • 대전 -2℃

  • 전주 1℃

  • 광주 1℃

  • 목포 5℃

  • 여수 7℃

  • 대구 1℃

  • 울산 5℃

  • 창원 4℃

  • 부산 7℃

  • 제주 6℃

美 금리인상 확실시···“신흥국發 위기 가중 ” VS “충격 크지 않아”

美 금리인상 확실시···“신흥국發 위기 가중 ” VS “충격 크지 않아”

등록 2015.11.22 12:47

김성배

  기자

공유

경제전문가 의견 갈려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 이사회 제닛 옐런 의장.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 이사회 제닛 옐런 의장.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내달 금리 인상이 거의 확실히 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경제 여파에 대해 경제 전문가들의 시각이 엇갈리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시장전문가를 상대로 한 최신 조사에서 12월 금리 인상 확률이 92%로 관측됐다고 보도했다. 지난달 초 조사 때는 이 확률이 64%에 그쳤다.

18일(현지시간) 공개된 10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서 다수의 위원은 12월이면 금리 인상을 위한 경제 여건이 조성될 것이란 평가를 내렸다.

다음날 스탠리 피셔 연준 부의장은 12월 금리 인상을 시사하는 발언으로 시장의 12월 인상 전망을 확신으로 바꿨다.

연준의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FOMC 정례회의가 내달 15∼16일로 예정된 점을 고려하면 금리 인상 시점이 한 달도 채 남지 않은 셈이다.

미국의 금리 인상은 이처럼 충분히 예견된 이벤트이고 시장도 이에 대한 대비를 해왔지만 막상 뚜껑이 열리고 나면 그 파급효과가 상상 이상으로 클 것이란 목소리도 적지 않다.

국제통화기금(IMF)의 모리스 옵스펠트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지난 10일 “(연준의) 행동(금리 인상) 위험이 엄청날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지만, 분명히 금리를 동결하는 것보다는 더 위험하다”고 말했다.

월가에서도 연준의 내달 금리 인상이 주식과 채권시장을 위협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오고 있다.

연준은 2006년 6월 정책금리를 연 5.0%에서 5.25%로 한 차례 올린 이후 금리를 동결해오다가 서브프라임모기지 사태의 먹구름이 짙어지던 2007년 9월 이후 금리를 급격히 내린 바 있다.

2008년 12월부터는 정책금리를 0∼0.25%로 유지하면서 사실상 제로금리 정책을 펴왔다. 12월에 금리를 올리면 사실상 9년 6개월 만의 인상인 셈이다.'

금융당국이 가장 우려하는 시나리오는 복합 충격의 발생이다.

연준의 금리 인상, 중국의 경기 둔화 가능성 등 소위 G2 리스크 외에도 원자재 가격 하락에 따른 신흥국의 경제불안, 지정학적 불안 등이 대외적인 주요 잠재 리스크 요인으로 꼽힌다.

이들 위험요인 몇 가지가 한꺼번에 맞물려 터진다면 충격이 몇 배로 증폭될 수 있다.

이주열 한은 총재도 지난 20일 시중은행장들을 초청해 연 금융협의회에서 “다양한 리스크가 복합적으로 발생하면 우리 경제도 부정적 충격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정책 당국은 물론, 금융기관이나 기업들도 이에 대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러나 미국의 금리 인상 이슈는 이미 시장이 충분히 예견해온 이벤트이고, 신흥국 불안 가능성도 과장된 측면이 있어 과도한 심리 위축을 경계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한 민간 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미국 금리 인상은 예견된 이벤트여서 충격이 크지 않을 것이고 주요 자원 신흥국들도 외환보유고 등 대외건전성이 나쁘지 않다. 남미 자원 신흥국의 불안 가능성이 있지만 국내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 금리 인상 후 단기적인 혼란이 있더라도 국내 금융시장은 빠르게 안정을 되찾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혹시 나타날지 모르는 충격에는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가계부채 대책과 기업 구조조정이 결국 미국의 금리 인상에 대비한 부채관리 정책의 일환인 만큼 현재의 대책들을 착실히 추진하는 한편 금융시장 모니터링을 한층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김성배 기자 ksb@

관련태그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