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분양시장 여파···추가 규제땐 침체중도금 보증액 수도권 6억·지방 3억 제한시장 연착률땐 시행대상과 범위 수정해야
업계 전문가들은 집단대출 규제가 늘어가는 가계부채와 부동산거품 등 현재 우리 경제가 맞닥드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인 것에는 공감하면서도 부동산시장에는 좋지 않은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했다.
김능수 신한은행 미래설계센터 부동산팀장은 “분양시장에 여파가 있을 것으로 본다. 이후 추가 대책이 나오느냐가 관건이 될 것”이라며 “분양가상한제 등 추가 규제 땐 시장에 찬물을 끼얹는 꼴이 된다”고 전했다.
심교언 건국대학교 부동산학과 교수는 “규제 대상이 좁을지라도 건설사들이 재건축 등의 사업을 할 때 심리적으로 압박을 받고 수요자 역시 심리적으로 위축될 것으로 예측된다”며 “가계부채가 심각해 중장기적으로 관리해야 하지만 이렇게 강하게 규제하는 것은 당장 서민들이 생계를 위협받을 수 있어 신중해야 한다”고 전했다.
상세한 규제 내용을 살펴봐야 하겠지만 부동산 규제 정책이 나왔다는 점 만으로 시장에 악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하는 전문가들도 있었다.
이동현 KEB하나은행 행복한부동산센터 센터장은 “규제라는 것 자체가 주택시장에는 일단 하나의 리스크로 작용한다”며 “분양시장이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것 같다”고 말했다.
김영곤 강남대학교 부동산학과 교수는 “아무래도 부정적인 영향이 예상된다. 집단대출 규제를 하겠다는 것과 어떤 방법으로 시행될 것인지를 봐야한다”며 “원론적으로 규제하겠다는 것은 부정적인 영향이 나오겠지만 내용에 따라 영향이 길게 또는 짧게 갈 수 있다. 또 실수요자가 바탕이 되는 지역에 따라 그 영향은 상이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대책이 시장에 연착륙하기 위해서는 시행 대상과 범위 등을 수정·보완한다고 입을 모았다.
이동현 센터장은 “정부가 달아오른 부동산 분위기를 진정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 것 같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또 다른 악재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며 “미주택자, 실수요자에게는 탄력적으로 적용해야 한다. 오히려 가수요자들의 집단대출을 좀 더 구분해서 규제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최현일 열린사이버대학교 부동산학과 교수도 “무주택자와, 다가구 주택자에 대한 규제를 달리해야 한다. 실수요자들에게는 대출의 문을 열어 놔야 분양시장이 급격히 냉각되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서승범 기자 seo6100@ 신수정 기자 christy@ 이경남 기자 secrey978@
뉴스웨이 서승범 기자
seo6100@newsway.co.kr
뉴스웨이 신수정 기자
christy@newsway.co.kr
뉴스웨이 이경남 기자
secrey978@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