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편집자주
- ‘창업자로부터 온 편지’는 한국 경제계의 거목으로 불리는 대기업 창업자들부터 미래를 짊어진 스타트업 CEO까지를 고루 조망합니다. 이들의 삶과 철학이 현직 기업인은 물론 창업을 준비하는 젊은 세대에게도 좋은 길잡이가 되기를 바랍니다.
하지만 꼼꼼한 주부들을 중심으로 점차 ‘몸에 좋은 걸 판다’는 입소문이 퍼졌고, 가게는 가파르게 커갔습니다. 가게의 이름은 풀무원 농장 무공해 농산물 직판장, 식품 전문기업 풀무원의 등장이었습니다.
먹는 것 → ‘몸에 좋은 음식’을 먹는 것, 생활수준 향상과 함께 바뀌기 시작한 식품의 패러다임. 풀무원은 이런 흐름을 주도한 기업인데요. 이 역할은 유행에 편승한 기획의 결과가 아니었습니다.
여기엔 한 농부의 신념, ‘한국 유기농의 아버지’로 불리는 원경선 원장의 정신이 깃들어 있었지요.
1914년 평안남도 중화군에서 가난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난 원 원장은 열여섯에 아버지를 여의고 농부의 길로 들어섰습니다. 잠은 3시간만 자는 등 유달리 부지런했지요. 해방 후엔 토목공사로 돈도 꽤나 모았습니다.
“사업은 번창했다. 접대하고, 뇌물 주고··· 싫어도 그렇게 해서 굴러갔다.”
그러던 중 트럭 사고가 닥칩니다. 가까스로 죽을 고비를 겨우 넘긴 원 원장은 그때까지의 생을 돌이켜보곤 껍데기 같았다고 판단 내렸는데요. 한국전쟁의 참상까지 온몸으로 겪고 나서는 삶 전반을 갈아엎기에 이릅니다.
1955년 경기도 부천 땅 1만 평을 개간해 풀무원 농장을 마련, 전쟁고아들을 비롯한 오갈 데 없는 이들을 농장으로 받아들인 것. 나누고 베푸는 공동체적 생활의 출발이었습니다.
『원경선 할아버지는 늘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내가 먹을 만큼만 남기고 다른 사람과 나누면 이 세상에 아무도 굶주리는 사람이 없을 것이라고 말이지요.』
- 2010년 중학교 1학년 국어교과서 42쪽 中. 창비
1976년엔 경기도 양주로 농장을 옮겨 ‘생명존중’과 ‘이웃사랑’을 실천하고자 국내에서 처음으로 화학비료와 제초제를 쓰지 않는 유기농을 시작했습니다. 우리나라 첫 유기농 단체인 ‘정농회’를 설립하기도 하지요.
‘바른 먹거리’를 슬로건으로 이젠 글로벌 식품기업으로 성장한 풀무원, 그 뿌리엔 바로 원 원장의 이 같은 신념이 자리 잡고 있었던 것이지요.
“풀무원이란 이름은 농장에서 시작했지만, 풀무원이 그 이름을 키웠으니 잘 써라. 다만 모든 제품에 생명존중과 이웃사랑의 정신이 깃들게 해라.”
원 원장은 공동체 운동으로 출발한 이타적 삶을 여기에서 그치지 않았습니다. 기아와 전쟁, 공해로부터 인류를 보호해야 한다는 취지에서 환경운동 및 생명보호운동, 평화운동으로까지 확대해가지요.
아프리카 기아 현장에서 구호활동을 하며 그 참상을 국내에 알리고, 한국국제기아대책기구 창립에 초석을 마련하는 등 빈곤 타파 운동에 앞장선 것도 그 일환.
2009년 기아대책 창립 20주년 기념식에선 “세계 63억 명의 인구 중 10억 명이 굶고 2초에 한 명이 죽어가고 있는 지금, 기아대책은 나와 내 가족을 넘어 이웃과 인류의 생명을 살리는 운동”이라고 역설하기도 했습니다.
“더 많은 후원자와 기업들의 참여로 굶주림으로 죽어가는 생명이 없는 평화로운 지구를 만들어가자.”
원 원장은 이 같은 공로들을 인정받아 1995년 유엔의 글로벌 500상을 받았습니다. 상금도 특혜도 없지만 사회운동가들에겐 더없이 영예로운 상. 원 원장은 유기농으로 이 상을 받은 최초의 인물로도 남아 있습니다.
평생 타인과 함께 살기에 대해 고민했던 원 원장은, 2013년 100세를 일기로 작고했습니다.
“제일 중요한 건 ‘원경선은 바르게 살았다’하는 걸 남기는 것.”
이웃사랑과 생명존중을 실천한 ‘농부’, 유기농을 비롯한 우리 삶 속 그의 유산들. 원경선 원장의 소원, 이 정도면 이뤄졌다고 봐도 되겠지요?
관련태그
뉴스웨이 이성인 기자
silee@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