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설문서 301개 기업 중 86% “대응안 없다”미국 정부 반도체 압박으로 기대 반 우려 반 목소리“대기업 투자로 산업 생태계 전반에 청신호 보내야”
26일 재계에 따르면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미국과 중국 등 주요국에 진출한 국내 기업 301개사를 대상으로 ‘신 통상환경 변화 속 우리 기업의 대응상황과 과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86%가 통상 환경 변화에 ‘대응 방안이 없다’고 답했다. 특히 중소기업은 이런 답변이 92%에 달해 대기업(75.9%)이나 중견기업(85.8%)과 비교해 더욱 손을 쓰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42.5%의 기업은 통상 환경 변화로 기업 환경이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내다봤다. 가장 부담되는 통상 이슈로도 40.9%의 가장 많은 기업이 ‘미·중 갈등’을 꼽았다.
안덕근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는 “탄소국경세 도입과 환경규제 강화 등 최근 선진국을 중심으로 논의되고 있는 조치들이 새로운 무역장벽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고 미국과 중국 간 갈등이 지속되자 기업들이 불안을 표출하고 있다”면서 “이에 대한 대응이 시급하고 통상환경 변화를 기회로 전환시켜야 하는 만큼 앞으로 정부의 통상정책이 매우 중요하게 작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재계에서는 최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글로벌 기업을 불러 자국에 투자를 독려한 ‘반도체 화상회의’를 거론하면서 국내 대표 수출 품목인 반도체 생태계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한 반도체 대기업 관계자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특별 사면 여론이 번지는 것도 미·중 사이 반도체 패권 다툼이 한창인 상황에서 대기업의 투자 활성화가 현실적인 해결책이라는 기대감 때문”이라며 “반도체는 설계부터 마지막 공정까지 전 영역에 대기업부터 중소기업까지 연결된 사업이므로 결국은 대기업의 공격적인 투자가 산업 생태계 전반을 키울 수 있는 성격이 있다”고 말했다.
이를테면 이 부회장이 앞서 2019년 4월 “2030년까지 시스템 반도체에 133조원을 투자하고 전문인력 1만5000여명을 채용하겠다”고 밝힌 것도 삼성전자의 투자로 반도체 설계부터 위탁생산(파운드리)을 거쳐 마지막 패키징(후공정)까지 생태계 전반을 아우르는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나온 계획이라는 설명이다.
특히 지금과 같은 미·중 갈등은 오히려 국내 반도체 생태계 전반엔 수요 증가 영향으로 긍정적인 국면 전환이 가능하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수요 증가를 전제 조건으로 대만의 TSMC는 올해부터 2023년까지 1000억 달러를 투자하겠다고 밝혔다”며 “분쟁이 지속돼도 향후 2년여 이상 반도체 공급 부족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국내 대기업을 중심으로 대규모 투자가 집행되면 반도체 생태계 전반에 온기가 돌 것”이라고 분석했다.
최도연 신한금융투자 연구원도 “미국의 중국 제재는 단기적으로 TSMC와 삼성전자 등 비메모리 파운드리 업체들에게 긍정적”이라며 “중국의 메모리 반도체 굴기 지연도 장기적으로는 한국 메모리 반도체 업체들에게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뉴스웨이 임정혁 기자
dori@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