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23일 토요일

  • 서울 9℃

  • 인천 9℃

  • 백령 9℃

  • 춘천 8℃

  • 강릉 7℃

  • 청주 9℃

  • 수원 11℃

  • 안동 9℃

  • 울릉도 7℃

  • 독도 8℃

  • 대전 10℃

  • 전주 8℃

  • 광주 11℃

  • 목포 10℃

  • 여수 11℃

  • 대구 10℃

  • 울산 12℃

  • 창원 11℃

  • 부산 13℃

  • 제주 15℃

유통·바이오 발 빼는 K-백신···자급화 전략 시급

유통·바이오 제약·바이오

발 빼는 K-백신···자급화 전략 시급

등록 2022.05.13 14:02

유수인

  기자

공유

국내 기업들, 코로나 백신 임상 잇단 중단원천기술 없고 정부지원 부족···자급률 40% 불과 mRNA 포함 다양한 제조기술 발전 필요

발 빼는 K-백신···자급화 전략 시급 기사의 사진


국내 코로나19 백신 개발 기업들이 잇따라 임상시험 중단 소식을 전하면서 백신 자급화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코로나 사태를 겪으며 백신 주권 확보의 중요성이 커졌지만 국산 백신 자급률은 40%대에 머무르고 있다. 전문가들은 다양한 플랫폼 기술을 활용한 백신 개발을 지속해 코로나는 물론 그 외 다른 질병들을 예방할 수 있는 백신 확보에도 나서야 한다는 입장이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HK이노엔은 지난 9일 코로나19 백신 'IN-B009'의 국내 임상1상을 자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국민 다수가 코로나에 감염됐거나 백신 접종으로 면역력이 확보돼 임상 참여자 모집이 어려워지고, 거리두기 해제 등 엔데믹화(풍토병)로 사회적 분위기가 반전되면서 후기 임상 진입에 대한 목적이 불분명해졌다는 이유에서다.

국내에서 가장 먼저 임상 2상에 진입해 기대를 모았던 제넥신도 지난 3월 인도네시아에서 임상 2/3상을 진행할 예정이었던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GX-19N'의 개발을 포기했다. 글로벌 임상을 진행 중인 유바이오로직스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3상 임상을 허가받았으나 아직 정부 지원을 받지 못해 임상 진입이 지연되고 있다.

반면 화이자, 모더나 등 글로벌 빅파마들은 불과 1~2년 만에 코로나19 백신을 상용화 시켰다. 이는 빅파마가 가지고 있는 mRNA 플랫폼 기술과 정부 지원의 영향이 크다. mRNA백신은 기존의 전통적인 백신 개발 방식보다 빠르고 대량생산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미국 정부는 백신개발 초고속 작전(Project Warp Speed)을 통해 코로나19백신 개발 및 공급에 20조원을 지원했고 영국도 백신 태스크포스에 10조원을 지원했다. 이에 아스트라제네카(AZ)를 시작으로 화이나, 모더나 등 글로벌 제약사들이 백신 개발 성과를 거뒀다.

원천기술이 없는 국내에서는 자체적인 기술 개발에 나설 수밖에 없다. 이에 정부는 mRNA백신 기술 개발에 집중하는 '신변종감염병mRNA백신사업단'을 꾸리고 올해부터 본격 운영한다.

사진= 'K-백신 자급화 현황 및 전략'을 주제로 열린 컨퍼런스에 참여자들이 토론을 진행하고 있다.사진= 'K-백신 자급화 현황 및 전략'을 주제로 열린 컨퍼런스에 참여자들이 토론을 진행하고 있다.



홍기종 단장은 이날 오전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바이오코리아2022 컨퍼런스에서 "사업단은 mRNA를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이 어디까지 가능한지 알아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며 "2년간 원하는 신변종감염병 항원을 개발하고, 원하는 제형으로 만들어서 비임상까지 완료하는 것이 1차 목표다. 2년 뒤에는 이를 통해 임상에 돌입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그는 "mRNA백신 통해 감염병에 신속하고 유연한 대응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면서도 "우리가 필요한 모든 백신을 mRNA 백신으로 개발할 수는 없다. 다른 형태의 백신 제조 기술 발전 역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우리나라는 대부분의 예방백신이 국산화 되지 않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날 자리에 참석한 우정택 글로벌백신기술선도사업단장은 "우리나라는 필수예방접종 백신 외 프리미엄이라고 하는 기타예방접종 백신들도 수입에 의존하는 경향이 크다"면서 "80%까지 자급률을 높이는 것이 목표인데 현재 30~40%에 불과하다. 특히 대상포진 등 프리미엄 백신들은 14개 중 1개만 자급할 정도로 국내 백신 자급률이 떨어지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성백린 백신실용화기술개발사업단장은 "기존에 필수접종백신을 개발하던 기업들이 코로나 백신에 뛰어들며 공백현상이 발생했다"며 "앞으로 사업단이 이런 공백을 어떻게 메꿔가느냐가 중요한 과제"라고 말했다.

업계는 백신 주권 확보를 위해 꾸준한 정부 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컨퍼런스 패널로 참석한 LG화학 제품개발연구소 김태현 팀장은 "필수예방접종 백신의 경우 국내 자급률이 30~40%정도이지만 원액 생산으로만 보면 20%대다. 자급률 측면에서 K백신은 시급한 면이 있다"면서도 "백신 개발의 경우 기업에서는 상당한 리스크를 안고 가는 것이기 때문에 정부의 적극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전에도 정부 지원은 있었지만 집중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본다"고 부연했다.

유바이오로직스 백영옥 대표도 "정부가 백신을 개발하는 기업들을 끝까지 밀어주는 지원을 해줬으면 한다"고 전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 유행으로 국산 백신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대가 형성됐지만 작년까지만 보더라도 정부의 대폭적인 지원은 없었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업들이 개발을 지속하는 이유는 하나의 플랫폼을 기반으로 제 2, 3의 코로나 사태가 왔을 때 활용할 수 있는 무기를 만들기 위해서라고 본다. 올해부터 실질적인 지원이 이뤄질 거라고 하니 기대된다"고 밝혔다.

윤석열 신임 대통령은 후보 시절부터 국산 백신과 신약 개발을 위해 재정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새 정부는 제약·바이오 분야 국정과제로 미국 혁신 연구개발 체계인 '아르파헬스(Arpa–H)'를 본뜬 '한국형 Arpa–H'를 구축하기로 했다.

권순만 한국보건산업진흥원장은 이날 인사말을 통해 "선진국의 코로나19 백신 사재기, 자국주의로 인한 백신 양극화로 백신 주권 확보가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다"며 "통상 10년 이상 소요되는 기존의 백신 개발 기술로는 판데믹 대응이 어려워 혁신이 필요한 상황이다. 백신 주권 역량이 국가 보건복지 경쟁력과 의료공공성의 척도가 되고 있어 정부는 기업들과 함께 지원을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