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6월 18일 화요일

  • 서울 26℃

  • 인천 23℃

  • 백령 23℃

  • 춘천 30℃

  • 강릉 24℃

  • 청주 29℃

  • 수원 24℃

  • 안동 28℃

  • 울릉도 21℃

  • 독도 21℃

  • 대전 27℃

  • 전주 26℃

  • 광주 27℃

  • 목포 24℃

  • 여수 28℃

  • 대구 31℃

  • 울산 25℃

  • 창원 27℃

  • 부산 25℃

  • 제주 24℃

이슈플러스 전고체 배터리, 中·日 정부 앞다퉈 지원하는데 한국은

이슈플러스 일반

전고체 배터리, 中·日 정부 앞다퉈 지원하는데 한국은

등록 2024.06.03 09:18

김선민

  기자

중국과 일본 정부가 전고체 배터리 시장 선점을 위해 앞다퉈 지원에 나서며 기 싸움을 벌이고 있다. 전고체 배터리는 현재 주로 쓰이는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에너지 밀도와 안전성이 뛰어나 '꿈의 배터리'로 불린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3일 중국 정부는 최근 전고체 배터리 연구개발에 약 60억위안(약 1조1천270억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전 세계 전고체 배터리 특허의 절반을 선점한 일본은 정부 보조금을 토대로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전고체 배터리의 글로벌 시장 규모는 2022년 2천750만달러(약 370억원)에서 2030년 400억달러(약 53조4천600억원)로 급성장할 전망이다.

전고체 배터리 기술은 현재 일본이 다소 앞서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일본 특허청 조사 결과 2013∼2021년 전 세계 전고체 배터리 관련 특허 출원 총 5천438건 중 일본 기업의 특허 출원 수는 2천645건으로, 전체의 48.6%를 차지했다. 후지필름(164건), 무라타제작소(154건) 등 상위 20곳 중 14곳이 일본 기업이다.

일본 정부는 2030년까지 일본 기업의 글로벌 배터리 시장 점유율 20% 회복을 목표로 총 54조5천억원의 민관 투자를 단행하기로 하는 등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일본 경제산업성은 전기차 탑재용 배터리 등을 경제안보상 중요물자로 지정하고 설비투자 비용의 3분의 1, 기술개발은 2분의 1을 보조하고 있다. 이를 통해 혼다는 1조5천억원, 도요타는 1조1천억원의 보조금을 받았다.

이런 가운데 중국 정부가 최근 '게임 체인저'인 전고체 배터리에 1조원 이상을 투입하는 '원 포인트' 지원에 나서며 주목받고 있다.

중국 관영 영자지 차이나데일리에 따르면 CATL과 웰리온 등 배터리업체와 비야디(BYD), 디이자동차(FAW), 상하이자동차(SAIC), 지리자동차 등 자동차 업체의 최소 7개 프로젝트가 지원 대상에 포함됐다.

세계 최대 전기차 배터리 제조업체인 CATL은 최근 2027년 전고체 배터리 생산 계획을 밝혔는데 이미 올해 초 2개 프로젝트에 정부 지원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배터리 제조업체 신왕다가 2026년 전고체 배터리 양산 계획을 밝히고, 고션(2027년 소량 생산·2030년 양산)과 SAIC(2026년 양산) 등이 전고체 배터리 개발 상황을 발표한 것도 정부 지원과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LG에너지솔루션과 SK온, 삼성SDI 등 K-배터리 3사도 꾸준히 전고체 배터리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해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 라인 구축을 마친 삼성SDI는 2027년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SK온은 2029년, LG에너지솔루션은 2030년을 각각 양산 목표 시점으로 제시한 바 있다.

다만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이 없이는 개발에 매진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당장 K-배터리 3사는 북미 지역에 대규모 시설투자에 나서는 등 총 25조원의 시설투자(캐펙스·CAPEX)를 집행할 계획이다.

한국 정부도 전고체 등 차세대 배터리 지원을 위해 올해부터 2028년까지 1천172억원을 투입한다고 밝혔지만, 이는 중국 정부 지원금의 10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