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6월 26일 수요일

  • 서울 29℃

  • 인천 30℃

  • 백령 26℃

  • 춘천 29℃

  • 강릉 27℃

  • 청주 28℃

  • 수원 29℃

  • 안동 28℃

  • 울릉도 22℃

  • 독도 23℃

  • 대전 29℃

  • 전주 29℃

  • 광주 30℃

  • 목포 27℃

  • 여수 26℃

  • 대구 30℃

  • 울산 27℃

  • 창원 29℃

  • 부산 26℃

  • 제주 23℃

이슈플러스 외식 물가 상승률, 3년 동안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평균치 상회

이슈플러스 일반

외식 물가 상승률, 3년 동안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평균치 상회

등록 2024.06.06 10:17

안민

  기자

고물가가 지속되면서 외식 품목 가격이 지난달에 이어 오름세를 지속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고물가가 지속되면서 외식 품목 가격이 지난달에 이어 오름세를 지속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외식 물가 상승률이 지난 3년 동안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평균치를 웃돌았고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은 최근 넉 달 연속 평균치를 밑돌았지만, 오름폭이 확대됐다. 특히 식용유와 간장, 참기름, 고추장, 된장 등 기초 재료 상승 폭이 컸다.

6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는 지난달 외식 물가 상승률은 2.8%로 전체 소비자 물가 상승률 평균치(2.7%)보다 0.1%포인트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외식 물가 상승률이 소비자 물가 상승률 평균을 웃돈 현상은 2021년 6월부터 36개월 연속 이어졌다.

지난 3년 동안 외식 물가 부담이 다른 품목들에 비해 그만큼 더 컸다는 얘기다.

외식 세품 품목 39개 중 절반이 넘는 23개 물가 상승률이 평균을 웃돌았고 물가가 내린 품목은 없었다.

떡볶이가 5.4%로 가장 높고 도시락(5.3%), 김밥(5.2%), 비빔밥(5.2%), 칼국수(4.3%), 쌀국수(4.2%), 김치찌개백반(4.1%), 구내식당식사비(4.0%) 등 순이었다.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종합포털인 '참가격'을 보면 지난 4월 서울 지역 김밥 가격은 평균 3천362원으로 3년 전(2천692원)보다 24.9% 올랐다. 비빔밥은 같은 기간 8천846원에서 1만769원으로 21.7% 상승했다.

칼국수는 7천462원에서 9천154원으로 22.7%, 김치찌개백반은 6천769원에서 8천115원으로 19.9% 각각 올랐다.

지난달 농·축·수산물 물가 상승률은 8.7%로 전체 평균치의 3.2배에 달했고 그중에서도 과실은 38.9%로 14.6배였다. 배는 126.3%, 사과는 80.4%, 양배추는 56.1% 등이었다.

반면 가공식품 부담은 상대적으로 작은 편이었다.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은 2021년 12월부터 지난 1월까지 26개월째 전체 평균을 웃돌았으나 2월부터 지난달까지 넉 달 연속 평균을 밑돌았다.

가공식품 세부 품목 73개 중 27개가 전체 평균을 웃돌았고 나머지 46개는 밑돌았다. 특히 19개는 물가가 오히려 내렸다.

설탕이 20.4%로 가장 높고 소금(16.4%), 식용유(15.2%), 고추장(9.7%), 양주(9.5%), 건강기능식품(8.7%), 맛김(8.1%), 아이스크림(6.1%), 우유(6.0%) 등 순으로 뒤를 이었다.

이에 반해 라면은 5.2% 내렸고 어묵(-5.0%), 김치(-4.1%), 소시지(-3.7%), 분유(-2.6%), 스낵과자(-2.1%) 등도 물가가 내렸다.

그러나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은 지난 1월 3.2%에서 2월 1.9%, 3월 1.4% 등으로 둔화세를 보이다가 4월 1.6%, 지난달 2.0%로 상승 폭이 커지고 있다.

지난달 식용유 물가 상승률은 15.2%로 전달(4.3%)의 3.5배를 넘고 같은 기간 간장 물가는 -2.2%에서 3.3%로 플러스(+)로 전환했다. 참기름도 4월 -0.6%에서 지난달 3.8%로 오름폭이 커졌다.

또 고추장은 6.0%에서 9.7%로, 된장은 -1.7%에서 1.3%로 각각 상승 폭이 커졌다.

2분기 들어 올리브유, 간장, 참기름, 조미김 등 가공식품과 김밥, 치킨, 피자, 햄버거 등의 외식 메뉴 가격이 줄줄이 올라 먹거리 물가 상승 폭은 더 커질 수 있다.

소비자단체는 최근 성명을 내고 가격 인상 자제를 촉구하고 있다.

소비자단체협의회는 "외식과 가공식품 부담이 가중되는 서민 물가 안정을 위한다면 가격 인상을 자제해야 하고, 1분기 호실적을 낸 기업들은 가격을 올리지 않아야 한다"고 말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