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13일 수요일

  • 서울 15℃

  • 인천 11℃

  • 백령 13℃

  • 춘천 11℃

  • 강릉 10℃

  • 청주 15℃

  • 수원 13℃

  • 안동 13℃

  • 울릉도 14℃

  • 독도 14℃

  • 대전 13℃

  • 전주 13℃

  • 광주 13℃

  • 목포 16℃

  • 여수 17℃

  • 대구 15℃

  • 울산 14℃

  • 창원 15℃

  • 부산 13℃

  • 제주 16℃

금융 車보험료 또 오를까···손보사 빅4, 손해율 '경고등' 켜졌다

금융 보험 NW리포트

車보험료 또 오를까···손보사 빅4, 손해율 '경고등' 켜졌다

등록 2024.10.15 13:48

수정 2024.10.15 14:49

김민지

  기자

공유

1~8월 대형 손보사 4곳 평균 손해율 80.4%대인배상보다 대물·자차손해 손해율 증가 더 커수입차 사고 건당 수리비는 국산차보다 2.6배↑

車보험료 또 오를까···손보사 빅4, 손해율 '경고등' 켜졌다 기사의 사진

내년 자동차 보험료 인상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올해 기록적인 폭우로 침수 피해 차량이 대폭 늘었고, 휴가철 차량 이동량 증가와 전기차 화재 등으로 손해율이 악화한 탓이다. 특히 최근에는 대인배상 손해율보다 대물배상과 자기차량손해 등 '차량 수리비'와 관련한 손해율이 더욱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손해보험업계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대형 손보사 4곳(삼성화재·DB손해보험·현대해상·KB손해보험)의 자동차보험 평균 손해율은 84.2%로 지난해 같은 기간(80.6%)보다 3.6%포인트 증가했다. 이들 보험사의 1~8월 누계 손해율 역시 80.4%로 지난해(77.8%) 대비 2.6% 올랐다.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보험사가 사고가 난 가입자에게 지급한 보험금을 전체 자동차보험 가입자로부터 받은 수입보험료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자동차보험은 손해율 80%를 손익분기점으로 본다. 손해율이 80%를 밑돌아야 자동차보험에서 이익이 난다는 의미다.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악화한 데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있다. 우선 지난해 주요 보험사들이 당국의 상생 금융 기조에 동참해 소비자 부담 완화 차원에서 자동차 보험료를 줄줄이 인하한 것이 반영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업계는 보험료 인하 영향이 내년까지 반영될 것으로 보고 있다.

올해는 7월 집중호우, 8월 전기차 화재 등으로 인한 차량 피해가 증가가 손해율 상승을 부추겼을 것이란 분석이다. 손보 업계는 지난 7월 집중호우로 3582대의 차량이 침수됐고, 추정 손해액은 319억4400만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했다. 이는 지난해 추정 손해액(175억원)보다 2배가량 많은 수치다.

사고 건수보다 건당 손해액 영향↑···대부분은 '차량 수리비'


車보험료 또 오를까···손보사 빅4, 손해율 '경고등' 켜졌다 기사의 사진

특히 최근 들어서는 치료비보다 차량 수리비 관련 손해율이 더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보험연구원이 발간한 '자동차 부품비 증가의 영향과 개선 과제' 리포트에 따르면 대인배상 손해율은 지난 2019년 4분기 101.1%에서 지난해 1분기 67.8%로 33.3%포인트 하락했다. 지난해 4분기에는 76.3%를 기록해 8.5%포인트 상승했다.

대물배상은 2019년 4분기 86.3%에서 지난해 1분기 75.8%로 하락했다가, 지난해 4분기에는 10.7%포인트 증가한 85.1%를 기록했다. 자기차량손해는 지난해 1분기 74.6%에서 지난해 4분기 85.5%를 기록, 10.9% 상승했다. 대인배상보다 대물배상과 자기차량손해 손해율 증가 폭이 더욱 컸다.

아울러 사고 발생 건수보다 사고 건당 손해액(사고심도) 영향이 더 큰 것으로 조사됐다. 사고심도는 물가상승률을 초과해 상승했는데, 손해액 대부분은 차량 수리비로 특히 부품비가 건당 수리비 증가를 견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고심도 상승률은 소비자물가보다 더 높게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실제 2006~2003년 연평균 물가상승률은 2.3%를 기록한 반면, 대물배상과 자기차량손해 사고당 손해율은 각각 5.4%, 4.7% 상승하며 물가상승률을 크게 웃돌았다.

연구원은 차량 부품비 상승 요인으로 ▲차량의 고급화와 대형화로 인한 차량 가격 상승 ▲부품 단위 가격 상승 ▲높은 교환 비율 ▲낮은 대체 부품 사용률 등 네 가지를 꼽았다. 통상 차량 기술 발달은 사고 위험률과 대인 피해를 줄이는 등 손해율을 낮추는 요인으로도 꼽힌다. 그러나 보험연구원의 분석 결과 부품 가격 상승이 되레 손해율을 높이는 요인으로도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량 고급화·외산차 증가···관련 부품가격 상승 요인


車보험료 또 오를까···손보사 빅4, 손해율 '경고등' 켜졌다 기사의 사진

보험개발원에 따르면 지난 2022년 기준 국산차 사고 건당 수리비는 135만1000원, 수입차 사고 건당 수리비는 353만5000원으로 약 2.6배(218만4000원)나 차이가 났다. 이중 차량 부품비는 국산차가 61만4000원, 수입차가 227만6000원으로 약 3.7배(116만2000원) 더 많이 지급됐다.

천지연 보험연구원 연구위원과 전용식 선임연구위원은 "차량의 고급화 및 대형화로 차량 가격이 상승했고 특히 외산차 비중도 크게 증가함에 따라 관련 차량 부품가격도 크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또 전기 및 하이브리드차 등 친환경차 비중이 확대되고 있는데, 배터리 등 부품비가 비싸 건당 손해액 증가세를 확대시키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경미 손상 수리 기준이 2017년 도입됐고, 2022년에는 품질인증 부품을 이용한 교환 수리를 허용했지만 외산차에서는 수리보다 교환 비중이 더 높은 것도 건당 손해액을 높이는 요익으로 지적됐다. 아울러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부품을 대체할 수 있는 품질인증부품 가격은 20~35% 낮지만, 아직까지 소비자 인식이 낮고 사용 실적이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부품가격 안정화와 보험료 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상품 개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천 연구위원과 전 선임연구위원은 "수입차 부품 재고 부족은 국산차 대비 재고 확인과 운송에 더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돼 수리와 렌트비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며 "부품 의무 공급 기간이 실제 부품 보유와 재고관리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부품 감가상각을 반영해 수리 부품비를 책정하고, 연식이 높은 차량을 중심으로 품질인증부품 사용을 유도할 필요성도 제기됐다.

이어 "자기차량손해담보에 대한 자기부담금 설정 금액의 범위를 확대해 과도한 수리 등의 모럴해저드를 방지하면서 보험료 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제도와 상품 개발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