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2월 12일 수요일

  • 서울

  • 인천

  • 백령

  • 춘천

  • 강릉

  • 청주

  • 수원

  • 안동

  • 울릉도

  • 독도

  • 대전

  • 전주

  • 광주

  • 목포

  • 여수

  • 대구

  • 울산

  • 창원

  • 부산

  • 제주

금융 '투자금 받고 잠적' 유사수신 피해 급증···지난해 400건 돌파

금융 금융일반

'투자금 받고 잠적' 유사수신 피해 급증···지난해 400건 돌파

등록 2025.02.11 12:00

박경보

  기자

공유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불법사금융신고센터에 접수된 유사수신 관련 신고·제보가 전년 대비 25% 증가한 410건에 달했다고 11일 밝혔다. 금감원은 혐의가 구체적인 35개 업체를 적발해 경찰청에 수사를 의뢰했다.

유사수신행위란 인가·허가·등록 등 없이 원금 이상의 지급을 약정하며 불특정 다수로부터 출자금, 예·적금 등의 명목으로 자금 조달을 업으로 하는 행위를 뜻한다.

수사의뢰한 유사수신 유형으로 신기술·신사업 투자(17건, 48.6%), 가상자산 및 주식·채권 등 금융상품 투자(12건, 34.3%) 및 부동산 투자(6건, 17.1%) 등 정상업체를 가장·빙자한 다양한 형태의 불법 자금모집 행위가 있었다.

최근에는 고수익보장을 미끼로 SNS 등 온라인에서만 활동하면서 투자금을 편취 후 바로 잠적하는 불법 자금모집행위가 더욱 기승을 부리고 있다.

이에 금감원은 소비자 대응요령으로 ▲'고수익이면서 원금이 보장되는 투자'는 없다는 평범한 진리를 기억 ▲온라인에서 접하는 투자 성공 후기는 불법업체의 유인수단일 가능성을 유념 ▲가치평가가 어려운 대상에 투자할 경우 더욱 꼼꼼히 사실관계를 확인 ▲지인이 고수익을 보장하며 투자를 권유하더라도 유사수신·사기일 수 있음을 명심 ▲보험설계사 등 금융·보험업계 종사자라 하더라도 맹신하지 말 것 ▲불법 유사수신 행위로 의심되면 신속하게 제보 등을 제시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고수익·원금보장 유혹에 넘어가 피해를 보지 않도록 소비자 유의사항 및 대응요령을 각별히 숙지해야 한다"며 "유사수신행위 피해를 입거나 의심시 적극 신고해달라"고 말했다.

관련태그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