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 무역위원회는 지난 20일 '중국산 탄소강 및 그 밖의 합금강 열간압연 후판 제품'에 대한 잠정 덤핑 방지 관세 27.91∼38.02% 부과를 결정하고, 기획재정부 장관에게 건의하기로 했다.
이번 조치는 지난해 현대제철이 중국산 후판에 대해 제기한 반덤핑 제소 결과가 나온 것이다. 당시 현대제철은 "20~30% 저렴한 중국산 후판이 유입되며 이익을 남기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번 결정으로 국내 철강업계와 조선업계의 희비를 극명히 엇갈린다. 철강사는 후판 가격이 정상화될 것으로 기대하는 반면 후판을 원재료로 쓰는 조선소는 원가 부담이 커질 것으로 걱정하고 있다.
후판은 두께 6mm 이상의 두꺼운 철판으로, 선박과 건설 자재로 쓰인다. 특히 후판은 선가의 20~30%를 차지하는 핵심 원자재로, 후판가격이 조선사들의 수익구조와 직결된다.
만약 현재 3600억원 수준인 LNG 운반선 선가는 후판의 가격이 10%만 상승해도 선가는 72억~108억원 오르는 셈이다.
시장에서는 중국의 거센 저가 공세 속에서 국내 조선사들이 경쟁력을 잃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중국 조선업체들은 자국산 저렴한 후판 뿐만 아니라 정부의 강력한 지원으로 가격 경쟁력을 유지하는 반면, 한국 조선사들은 최소한의 가격 경쟁력 대응 수단까지 없어졌다는 것이다. 중국과의 기술격차가 크지 않은 상황에서 글로벌 선주사들은 중국 조선소로 발주를 전환할 것으로 예상되는 이유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오랜 불황의 터널을 지나 이제 막 기지개를 펴려던 조선업계에 찬물을 끼얹는 것"이라며 "이번 조치는 국내 조선사의 경쟁력 저하로 이어져 산업 생태계 전반이 흔들리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관련태그

뉴스웨이 김다정 기자
ddang@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