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에 따르면 현대제철은 이날 "단순한 정기 보수가 아닌 시황 악화로 인한 감산 조치"라며 "당장의 손실을 감수하더라도 시장 정상화를 위한 결정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현대제철은 인천 철근공장 폐쇄를 통해 봉형강 시장을 안정화하고, 적자 누적 상황을 개선할 예정이다.
현대제철은 인천공장에서 철근과 형강을 생산하고 있는데, 이 중 철근과 형강의 생산 능력은(캐파) 각각 연간 약 150만톤(t), 200만톤(t)이다.
일단 4월 한 달 동안 인천공항 철근공장 생산을 중단하고, 국내 철근 재고가 감소하는 등 시장의 공급 과잉이 완화할 때까지 감산 조치를 유치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단기적으로 공급 과잉 해소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현대제철은 글로벌 경기 침체와 중국발 공급 과잉, 국내 수요 둔화 속에 최근 비상경영 체제에 들어갔다. 임원 급여를 20% 삭감하고 전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 신청을 시행하는 등 원가 절감 방안을 추진 중이다.

뉴스웨이 황예인 기자
yee9611@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