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보고서 톺아보기 현대차, 중국서 부활 '신호탄'···글로벌 톱2 도약 '마지막 퍼즐' 이달초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중국을 찾았다. 세계 최대 규모 자동차 전시회인 상하이모터쇼에 모습을 드러낸 정 회장은 2018년 베이징모터쇼 이후 7년 만에 중국 모터쇼를 직접 방문했다. 특히 올해는 현대자동차와 기아 모두 상하이모터쇼에 불참한 만큼 이례적인 행보에 이목이 집중된 건 당연한 일이다. 최근 몇 년 사이 '글로벌 톱3'에 오른 현대차는 중국에서 마지막 퍼즐을 맞추고 있다. 전기차 시대를 맞아 중요성이 커진 세계 최대 시장 공
사업보고서 톺아보기 삼성전자의 고육지책, 중저가 TV로 점유율 높였다 가전 사업 전반이 주춤한 가운데, 삼성전자가 보급형 TV 판매를 통해 점유율을 되살렸다. 2분기부터는 AI·초대형 중심의 프리미엄 라인업을 통해 하반기 수익성 반등을 노린다는 계획이다. 20일 삼성전자의 2025년 1분기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TV 평균 판매가격(ASP)이 전년 연간 평균 대비 6% 하락했다. 통상 ASP가격이 높으면 고가 제품 위주 판매가 많고, ASP 가격이 낮으면 중저가 모델 비중이 커졌거나 할인 전략이 반영됐다는
사업보고서 톺아보기 도크 꽉 찼다···조선 3사, 슈퍼사이클 타고 2조 4000억원 넘게 투자 슈퍼사이클(초호황기)을 맞은 국내 조선사들이 쉴 새 없이 돌아가고 있다. 이미 조선소 도크가 꽉 찬 상황에서 계속해서 주문이 빗발치자 국내 조선업계는 올해 생산 능력을 끌어올리기 위한 대규모 투자를 예고했다. 19일 각사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국내 '빅3' 조선사들의 조선 부문 가동률은 100%를 웃돌았다. 삼성중공업은 117%로 가장 높았다. 이어 HD한국조선해양(106.1%), 한화오션(100.2%)으로 뒤를 이었다. 이들 3사의 가동률이 100%를 넘어섰다
사업보고서 톺아보기 '신사업' 발목 잡힌 GS리테일, 줄줄이 적자 신세 GS리테일의 신사업 계열사가 적자를 거듭하고 있다. 공격적인 인수합병(M&A)으로 사업 다각화에 나섰으나 성과가 부진했다. 25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배달 플랫폼 요기요를 운영하는 위대한상상은 지난해 기말 장부가액이 538억원(지분 24%)으로 기초(1380억원)보다 60.9% 감소했다. 장부가액은 기업이 회계장부에 기록한 자산 평가 금액이다. GS리테일은 지난 2021년 위대한상상 지분 30%를 3077억원에 인수했으나 적자로 인한 지분법 손
사업보고서 톺아보기 포스코, 내부거래 40%...포스코인터가 '절반 이상' 포스코는 내부거래 비중이 38%로 국내 철강업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특히, 포스코인터가 주요 고객사로 자리 잡고 있다. 포스코의 내부거래 감소와 미래 전략은 투명성과 경쟁력 간의 균형을 찾는 데 주목받고 있다. 업계는 포스코가 유통망 강화를 통해 외연 확장을 시도할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사업보고서 톺아보기 AI 변혁에도 현대오토·포스코DX는 여전히 '그룹 전산실' 국내 대기업 IT서비스 계열사의 역할이 엇갈렸다. 지난해 삼성과 롯데 IT계열사는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그룹의 새 먹거리를 도모한 반면, 현대와 포스코는 여전히 내부 매출 비중을 높이며 '그룹 전산실' 역할을 탈피하지 못했다. 23일 국내 IT서비스 업계 사업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이런 결과가 나왔다. 특히 현대오토에버와 포스코DX의 내부거래 비중이 높았다. 현대오토에버는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 3조7136억원을 기록했는데, 특수관계
사업보고서 톺아보기 이재용 "어려울 때일수록 R&D"···삼성전자, 작년 사상 최대 35조 투자 삼성전자의 지난해 연구개발(R&D) 투자 비용이 10년 만에 처음으로 30조원을 돌파했다. 이는 "어려울 때일수록 선제적인 R&D와 흔들림 없는 투자가 필요하다"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작년 초 현장 경영 발언이 현실로 이어진 결과다. 2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해 R&D 투자 비용으로 총 35조원을 집행했다. 이는 2023년 28조4000억원보다 6조6000억원 증가한 수치이자, 2015년(14조8000억원)과 비교하면 20조2000억원 늘어난 규
사업보고서 톺아보기 AI 혁신 급한데···네카오, 작년 'R&D 투자'는 뒷걸음질 네이버와 카카오는 AI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나 지난해 연구개발비 투자가 감소하여 경쟁력 저하 우려가 제기된다. 네이버는 1조8579억 원, 카카오는 1조2696억 원을 투자하였으며, 이는 2023년과 비교해 각각 6.7%, 3.7% 감소한 수치이다. 전문인력 확보와 인프라 확충을 위한 전략적 연구개발 투자 확대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사업보고서 톺아보기 쏘카, 작년 'R&D 투자' 84% 뚝···매출比 0.4% 그쳐 쏘카가 지난해 연구개발(R&D) 투자를 84% 가량 줄였다. 연구개발비는 매출액 대비 0.42%에 불과하여 동종 업계 대비 낮은 수준이다. 인력 및 인프라 투자 삭감 이유로 일부 인력의 현업부서 이관 및 조직 재편을 들었으며, 기술 투자 의지는 여전히 견고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사업보고서 톺아보기 엔씨 글로벌 전초기지 '휘청'···1년 만에 또 '적자전환' 엔씨소프트의 북미법인 엔씨웨스트가 2023년 다시 적자로 돌아섰다. 전년도 길드워2 확장팩의 흥행으로 흑자 전환했던 성과가 구조조정 덕분에 일시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2023년 매출은 전년대비 26.6% 감소한 1120억원, 영업손실은 268억원을 기록했다. 북미 사업의 부진이 엔씨소프트 전체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으나, 근본적 해결책은 미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