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일반
이창용 "국가채무비율, 중장기적으로 증가율 3% 정도로 낮춰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원화가 국제화되지 않은 만큼 한국의 국가채무비율은 선진국보다 낮아야 하며, IMF가 적정선으로 보는 80~90%보다 엄격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채무 증가율을 중장기적으로 3% 수준으로 낮추지 않으면 2029년 60%에 이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총 5건 검색]
상세검색
금융일반
이창용 "국가채무비율, 중장기적으로 증가율 3% 정도로 낮춰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원화가 국제화되지 않은 만큼 한국의 국가채무비율은 선진국보다 낮아야 하며, IMF가 적정선으로 보는 80~90%보다 엄격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채무 증가율을 중장기적으로 3% 수준으로 낮추지 않으면 2029년 60%에 이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올해 국가채무비율 45%전망···정부 예측보다 3년 빠른 수준
올해 국가채무가 국내총생산(GDP) 대비 45%에 이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이는 정부가 2019~2023년 국가재정운용계획에서 예측했던 것보다 3년가량 빠른 수준이다. 앞서 정부는 2019∼2023년 국가재정운용계획에서 GDP 대비 국가채무비율이 올해 39.8%, 2021년 42.1%, 2022년 44.2%로, 2023년 46.4%로 문재인 정부 말까지 45%를 하회할 것으로 전망했었다. GDP 대비 45%를 새로운 심리적 마지노선으로 삼는 분위기다. 이와 관련해 당정청은 5월 마지막 주 문재인
홍남기 “내년 국가채무비율 39% 후반될 것”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2일 “정부가 내년 예산안을 짜놓은 대로 된다면 내년 국가채무비율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39%대 후반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홍 부총리는 이날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이번주 예산안을 준비해 (다음주 국무회의 안건으로) 올릴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올해 국회 확정 추경 예산안 기준 GDP 대비 국가채무비율은 37.2%였다. 홍 부총리는 더불어민주당 윤후덕 의원이 “3
논란된 국가채무비율 40%서 줄어든다, 왜?
국가채무비율 GDP 40% 돌파를 둘러싼 논쟁이 무의미해졌다. 한국은행이 통계 기준연도를 조정하면서 GDP 대비 국가채무비율이 내년에도 40%를 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4일 국민계정 2015년 기준년 1차 개편 결과 발표에서 GDP 등 국민계정 통계의 기준연도를 2010년에서 2015년으로 변경했다. 한은은 통계의 현실 반영도를 높이기 위해 기준연도를 주기적으로 변경하고 있다. 한국은행이 국민 계정의 기준연
국가채무비율, 이번엔 45% 설전...“과속” vs“오히려 더뎌”
최근 국가 채무비율 논쟁이 일고 있다. 국가채무비율이 ‘사상 처음으로 40%대’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데 따른 것이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30일 오는 2022년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비율이 45% 정도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홍 부총리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의원 워크숍에서 가진 ‘향후 경제전망과 정책’ 발제에서 이 같은 확장적 재정정책 필요성을 밝혔다. 기재부가 지난달 추가경정예산안을 국회에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