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4월 02일 수요일

  • 서울 6℃

  • 인천 4℃

  • 백령 7℃

  • 춘천 1℃

  • 강릉 2℃

  • 청주 3℃

  • 수원 3℃

  • 안동 -1℃

  • 울릉도 7℃

  • 독도 7℃

  • 대전 1℃

  • 전주 3℃

  • 광주 1℃

  • 목포 4℃

  • 여수 6℃

  • 대구 3℃

  • 울산 5℃

  • 창원 3℃

  • 부산 6℃

  • 제주 4℃

삼성바이오에피스 검색결과

[총 157건 검색]

상세검색

'프롤리아' 특허 만료, 시밀러 공습···암젠·종근당 방어전략 고심

제약·바이오

'프롤리아' 특허 만료, 시밀러 공습···암젠·종근당 방어전략 고심

암젠의 골다공증 치료제 프롤리아 특허 만료로 시장에 바이오시밀러가 등장했다. 셀트리온은 스토보클로와 오센벨트 판매를 시작하고, 삼성바이오에피스는 한미약품과 공동 판매 협약을 체결했다. 시장 확대를 위해 양사는 의료진 교육을 강화하고 합리적인 가격 전략을 통해 점유율을 늘리려 한다.

삼성바이오에피스·한미약품, 골다공증 치료제 바이오시밀러 공동 판매 협약

제약·바이오

삼성바이오에피스·한미약품, 골다공증 치료제 바이오시밀러 공동 판매 협약

삼성바이오에피스와 한미약품은 지난 18일 한미약품 본사 파크홀에서 골다공증 치료제 프롤리아(Prolia)의 바이오시밀러(프로젝트명 SB16, 성분명 데노수맙 Denosumab) 국내 출시를 위한 공동 판매 협약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삼성바이오에피스는 프롤리아 바이오시밀러의 개발 및 생산, 공급을 담당하며, 국내 시장에서의 마케팅 및 영업 활동은 한미약품과 공동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프롤리아는 글로벌 제약사 암젠(Amgen)이 개발

트럼프 의약품 관세 폭탄 선포···'시밀러·톡신' 대미수출 비상

제약·바이오

트럼프 의약품 관세 폭탄 선포···'시밀러·톡신' 대미수출 비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의약품에 25% 이상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히면서 국내 제약바이오기업들에게 비상이 걸렸다. 특히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보툴리눔 톡신 등 국산 바이오의약품은 대미 주요 수출 품목으로 꼽히고 있어 기업들도 대응에 나서는 모습이다. 18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의약품 관세에 대해 "25% 혹은 그 이상에서 시작, 1년에 걸쳐 훨씬 더 인상"이라고 직접적으로 밝히며 외국 제약사를 압박했다. 발표 날짜는

삼성바이오에피스, 2024년 역대 최대 실적 달성

제약·바이오

삼성바이오에피스, 2024년 역대 최대 실적 달성

삼성바이오에피스가 지난해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글로벌 바이오 시장에서 입지를 공고히 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22일 실적발표에 따르면, 삼성바이오에피스는 2024년 연간 매출 1조5377억원, 영업이익 4354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2023년 매출(1조203억원) 대비 51%, 영업이익(2054억원) 대비 112% 증가한 수치로, 국내 의약품 개발사 중 최단기간 매출 1조원 돌파다. 회사 측은 이러한 성과가 글로벌 시장에서의 바이오시밀러 허가 및 판매 확대에 힘입은 결

K-시밀러, '22조' 스텔라라 미국 시장 도전장

제약·바이오

K-시밀러, '22조' 스텔라라 미국 시장 도전장

글로벌 블록버스터 '스텔라라'의 특허가 만료되며 올해 바이오시밀러 출시가 이어질 예정이다. 삼성바이오에피스, 셀트리온, 동아에스티 등 국내 바이오 기업도 미국 시장에서 '삼파전'을 치를 준비를 하고 있다. 1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올해 자가면역치료제 스텔라라(성분명 우스테키누맙) 바이오시밀러 시장이 열린다. 이달 중 암젠의 '위즈라나' 출시를 시작으로 총 7개사가 연내 바이오시밀러 출시를 노리고 있다. 스텔라라는 TNF-α를 차단해 염증

美 FDA, 지난해 바이오시밀러 18개 허가···역대 최다

제약·바이오

美 FDA, 지난해 바이오시밀러 18개 허가···역대 최다

지난해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바이오시밀러' 승인 건수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13일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FDA가 승인한 바이오시밀러 제품은 총 18개로, 2015년 최초로 바이오시밀러가 허가된 이래 가장 많은 제품이 허가 받았다. 바이오시밀러는 FDA가 승인한 오리지널 바이오의약품과 매우 유사하고 안전성, 순도 및 효능(안전성 및 효과) 측면에서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없는 생물학적 제품이다

삼성바이오에피스-테바, '에피스클리' 미국 진출 맞손

제약·바이오

삼성바이오에피스-테바, '에피스클리' 미국 진출 맞손

삼성바이오에피스가 테바 파마슈티컬 인더스트리(테바)와 희귀질환 치료제 '에피스클리'(프로젝트명 SB12, 성분명 에쿨리주맙)의 미국 진출을 위해 손을 잡았다. 12일 삼성바이오에피스는 테바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계약에 따라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에피스클리 개발사로서 제품의 생산·공급을 담당하고, 테바는 미국 내 마케팅·영업 활동을 맡는다. 에피스클리는 미국 알렉시온이 개발한 희귀질환 치료제

블록버스터 1호 탄생 목전···국산 바이오시밀러 '저력'

제약·바이오

블록버스터 1호 탄생 목전···국산 바이오시밀러 '저력'

셀트리온의 바이오시밀러 '램시마'가 글로벌 블록버스터 진입을 눈앞에 뒀다. 올해 국산 바이오시밀러가 상업적 성과를 보이는 가운데 국내 제약바이오사는 역대 가장 많은 시밀러를 배출하며 연구 역량도 입증했다. '블록버스터' 의약품은 매출이 매우 높은 의약품을 가리키는 용어다. 보통 연간 매출이 10억달러(한화 약 1조원) 이상인 의약품을 뜻한다. 블록버스터는 대개 혁신적이고 효과적인 치료법을 제공해 높은 시장 점유율을 보이며, 제약바이오

"이번엔 'AI'다"···삼성, 美 바이오텍 '제너레이트 바이오메디슨'에 투자

제약·바이오

"이번엔 'AI'다"···삼성, 美 바이오텍 '제너레이트 바이오메디슨'에 투자

삼성은 생명과학 분야 신기술 및 사업 개발을 위해 조성한 '라이프사이언스펀드'를 통해 미국 바이오 벤처 기업 '제너레이트 바이오메디슨'에 투자한다고 18일 밝혔다. 삼성 라이프사이언스펀드는 삼성물산,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바이오에피스가 공동으로 2400억원을 출자해 조성한 벤처 투자 펀드로 삼성벤처투자가 조합을 결성해 운용 중이다. 제너레이트 바이오메디슨은 생성형 AI 및 머신러닝 등을 활용한 단백질 디자인 기술 등을 보유하고 있으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