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목
아모레퍼시픽, 바닥론 확산···길어진 주가부진 터널 끝낼까
아모레퍼시픽은 중국 시장 부진을 북미 및 유럽 시장의 수익성 확대로 상쇄하고 있다. 이에 주가 바닥론이 확산되며 기관투자자와 외국인 투자자의 매수세가 더해져 주가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코스알엑스의 재고 조정과 하반기 신제품 출시에 따라 주가 회복세가 예상된다.
[총 592건 검색]
상세검색
종목
아모레퍼시픽, 바닥론 확산···길어진 주가부진 터널 끝낼까
아모레퍼시픽은 중국 시장 부진을 북미 및 유럽 시장의 수익성 확대로 상쇄하고 있다. 이에 주가 바닥론이 확산되며 기관투자자와 외국인 투자자의 매수세가 더해져 주가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코스알엑스의 재고 조정과 하반기 신제품 출시에 따라 주가 회복세가 예상된다.
패션·뷰티
"투자자 떠날라" 뷰티 3사, 주주환원 안간힘
국내 주요 뷰티 기업인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애경산업이 주주환원 정책을 강화한다.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과 중국 시장 부진 등의 영향으로 국내 뷰티 업계의 성장세가 둔화되며 투자자들의 우려가 커짐에 따라 배당 확대와 자사주 매입 등 다양한 주주환원 정책을 통해 투자자 신뢰를 회복하겠다는 방침이다. 7일 전자공시시스템 등에 따르면 아모레퍼시픽은 2024년 연간 매출 4조 2599억 원, 영업이익 2493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각각 5.9%, 64.0
패션·뷰티
아모레퍼시픽그룹, 지난해 영업익 2493억원···전년比 64%↑
아모레퍼시픽그룹은 지난해 영업이익이 2493억원으로 지난해보다 64% 증가했다고 6일 공시했다. 매출은 4조2599억원으로 5.9% 증가했으며 순이익은 6529억원으로 178.2% 늘었다. 주력 계열사인 아모레퍼시픽의 영업이익은 2205억원으로 103.8% 증가했다. 이 중 해외사업 영업이익은 1042억원으로 흑자 전환했으며 국내사업 영업이익은 1483억원으로 1.3% 늘었고 매출은 3조8851억원으로 5.7% 올랐다. 그룹의 4분기 영업이익은 790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64.7% 증가했으며
패션·뷰티
"뷰티 테크가 미래"···아모레·LG생건 디바이스 도전장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이 화장품 산업의 신성장 동력으로 떠오른 뷰티 디바이스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 글로벌 뷰티 디바이스 시장(데이터브릿지 추정)은 2023년 100억 달러 규모다. 최근 연평균 15%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했고, 2030년에는 1769억3000만달러(한화 약 247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9일 업계 등에 따르면 아모레퍼시픽은 협업과 혁신 기술을 기반으로 새로운 뷰티 디바이스를 지속적으로 출시할 계획이다.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A
종목
[애널리스트의 시각]아모레퍼시픽, 수출 확대 업고 고환율 수혜까지···주가 '활짝'
지난해 3분기까지 글로벌 시장에서 실적 향상을 기록한 아모레퍼시픽이 고환율 혜택을 볼 것이란 전망이다. 이에 증권가에선 4분기 실적 전망치를 상향하며 아모레퍼시픽의 목표주가를 19만원으로 제시했다. 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6일 아모레퍼시픽은 전 거래일 대비 7700원(7.12%) 상승한 11만580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아모레퍼시픽의 주가 상승은 지난해 12월 2일 원·달러 환율이 1400원을 넘은 이후 지속되고 있다. 아모레퍼시픽의 주가 상승은 미국
패션·뷰티
"북미 시장 호조"···아모레퍼시픽그룹, 3Q 영업익 전년比 160%↑
아모레퍼시픽그룹은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160% 상승한 750억원을 기록했다고 1일 밝혔다. 같은 기간 매출은 11% 오른 1조681억원을 냈다. 라네즈 등 주요 브랜드들이 북미에서 좋은 실적을 거두고, 서구권 매출 비중이 높은 코스알엑스의 실적 편입 효과가 컸다. 주력 계열사 아모레퍼시픽 브랜드 중 라네즈, 헤라, 에스트라, 라보에이치, 일리윤 등은 혁신적인 신제품 출시와 젊은 고객층과의 소통 강화로 선전했다. 주요 자회사 중에서는 에
IT일반
CJ올리브네트웍스, 아모레퍼시픽 글로벌개발센터 운영 사업 수주
CJ올리브네트웍스는 아모레퍼시픽의 차세대 글로벌개발센터(이하, GDC 2.0) 운영 사업을 수주하며 아모레퍼시픽의 DX 파트너로 협력한다고 10일 밝혔다. 아모레퍼시픽 GDC는 한국을 비롯한 베트남, 홍콩,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대만 등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이커머스 플랫폼을 구축∙운영하고 있다. 12개 국가 대상 CRM 운영, 미들웨어 구축, AI 프로젝트 수행 등 IT 서비스는 물론 국가별 현지화 및 운영 안정화를 통해 글로벌 비즈
증권일반
한투證 "아모레퍼시픽, 3분기 영업익 전망치 15%↓ 예상"
한국투자증권은 아모레퍼시픽의 3분기 영업이익이 컨센서스(시장 평균 전망치)를 15% 하회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비중국 매출로 중국 부진을 상쇄하며 주가가 회복세를 이어갈 것이란 의견도 제시했다.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20만원은 기존과 같이 유지했다. 13일 김명주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아모레퍼시픽의 올해 3분기 연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4.3% 증가한 1조163억원,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154.6% 증가한 439억원을 기록할 전망"이라며 "영업
종목
NH투자證 "아모레퍼시픽, 중국 적자에 3분기 실적도 암울···목표가 10%↓"
NH투자증권이 6일 아모레퍼시픽에 대해 중국 사업 적자가 3분기 실적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에 목표주가를 20만원에서 18만원으로 2만원(10%) 하향 조정했다.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NH투자증권은 아모레퍼시픽 연결기준 매출액을 9708억원, 영업이익 380억원으로 추정했다. 이는 각각 전년 대비 9%, 120% 상승한 수치이나 시장 전망치를 28% 하회하는 실적이다. 근거로는 국내 화장품 매출 소폭 감소와 중국의 해외 부진을 꼽
패션·뷰티
"에스트라에 헤라까지"···아모레, 태국 시장에 힘 쏟는 이유
아모레퍼시픽이 주력하고 있는 화장품 브랜드를 태국 시장에 잇달아 진출시키며 인지도 제고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모양새다. 최근 태국 현지에서 더마 뷰티 브랜드 '에스트라'와 컨템포러리 뷰티 브랜드 '헤라'를 앞세워 오프라인 활로 개척에 나서는가 하면 이들 브랜드를 온라인 플랫폼에 입점시키는 등 유통 채널 다각화에 집중하고 있기 때문이다. 업계는 태국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인플루언서에 대한 영향력이 큰 국가일 뿐만 아니라 현지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