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일반
[환율시황]관세전쟁 우려에 1467.8원 마감···5년 만에 최대 폭 상승
미국발 관세전쟁 우려로 원·달러 환율이 폭등하며 외환시장을 크게 흔들고 있다. 7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1467.8원으로 크게 상승했다. 미·중 통상전쟁 격화로 원화 수요가 감소했고, 외국인 자금이 빠지며 코스피 지수가 하락했다. 중국은 보복 관세를 예고하면서 환율 변동성이 커질 전망이다.
[총 4건 검색]
상세검색
금융일반
[환율시황]관세전쟁 우려에 1467.8원 마감···5년 만에 최대 폭 상승
미국발 관세전쟁 우려로 원·달러 환율이 폭등하며 외환시장을 크게 흔들고 있다. 7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1467.8원으로 크게 상승했다. 미·중 통상전쟁 격화로 원화 수요가 감소했고, 외국인 자금이 빠지며 코스피 지수가 하락했다. 중국은 보복 관세를 예고하면서 환율 변동성이 커질 전망이다.
소비자물가 또 오르나···1월 수입물가 13.2%↑
수출입물가가 5개월 연속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수입물가는 서민들에게 부담이 되는 소비자물가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아 관심이 쏠린다. 1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7년 1월 수출입물가지수’를 보면 지난달 수입물가지수는 84.91로 지난해 1월보다 13.2% 올라섰고 지난달 대비 2.1% 올랐다. 이 같은 수입물가의 오름세는 국제유가 상승과 더불어 원화 약세의 영향이 컸다. 국내에서 주로 수입하는 중동산 원유 가격의 기준이 되는 두바이 유가는 지
원화가치, 실질실효환율 6년만에 최고
한국의 원화가치가 실질 실효환율 기준으로 6년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19일 한국은행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국제결제은행(BIS)이 산출한 지난 4월 원화의 실질 실효환율 지수(2010년 100기준)는 110.9로, 전월(113.46)보다 2.8% 상승했다. 이는 2008년 4월(111.3) 이후 최고 수준이다.실질 실효환율은 명목 환율을 상대국과의 교역 비중으로 가중평균해서 물가 변동을 반영해 산출하는 환율로, BIS의 실질 실효환율 지수는 2010년 100을 기준으로 이보다 높으면 통
빨라지는 원화가치 경제타격 ‘경고음’
원화강세가 빨라지고 있다. 원화가치가 상승하고 있는 것은 한국경제가 튼튼하다는 신호로 볼 수 있지만 원화가치 상승은 수출기업으로서는 달갑지만은 않다. 경상수지가 연일 흑자 행진을 이어가면서 원화가치 상승에 대한 관심도 적어지고 있다. 수출기업의 채산성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은 상황에서 환율변동성이 심한 최근 시기에는 큰 ‘후폭풍’을 줄 수 있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LG경제연구원은 5일 원화강세 속도가 매우 빨라지고 있다고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