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20℃

여수 20℃

대구 21℃

울산 21℃

창원 21℃

부산 21℃

제주 21℃

주택 가격 검색결과

[총 16건 검색]

상세검색

1인 가구 증가에 따른 주거 문화의 변화

권대중

[권대중의 부동산 산책]1인 가구 증가에 따른 주거 문화의 변화

통계청에 따르면 2025년도 우리나라 1인 가구는 약 800만 가구로 전체 가구의 35.5%를 차지한다고 발표하였다. 1990년 9.0%에 불과했던 1인 가구 비율이 급증하면서 지금 1인 가구가 우리 주거 문화의 새로운 트렌드를 만들고 있다. 특히, 양극화로 인한 주택가격 상승은 이들에게는 그림의 떡이 되어 오히려 모든 것이 갖춰져 있는 원룸을 선호하게 되고 원룸 속에서도 주방에는 1인용 주방기기들, 거실에는 1인용 쇼파와 가구들 그리고 간단한 침실 등이 인기를

한은 "가계대출 불확실성 커···적절한 정책조합 긴요"

금융일반

한은 "가계대출 불확실성 커···적절한 정책조합 긴요"

한국은행이 향후 수도권 주택가격과 가계대출에 대한 의견이 엇갈라는 등 불확실성이 큰 상황임을 강조하면서 정책적 적절한 조합이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한은은 12일 '통화신용정책보고서'를 내고 최근 수도권 주택가격이 상승세를 지속하면서 한동안 가계부채 비율도 현재의 높은 수준을 이어갈 것이라고 예상했다. 실제 서울 명목 주택 가격은 2021년 고점의 90%를 회복했고, 주택시장 위험지수는 '고평가' 단계에서 재상승했다. 이에

한은 "기준금리 1.0%p 올리면 2년 뒤 집값 최대 2.8% 하락"

한은 "기준금리 1.0%p 올리면 2년 뒤 집값 최대 2.8% 하락"

금리상승과 대출규제 강화 등의 영향으로 집 값이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왔다. 기준금리가 1.0%포인트(p) 오르면 2년 뒤 주택가격이 최대 2.8%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은 3일 BOK 이슈노트 '주택시장 리스크 평가' 보고서를 통해 "최근 주택시장 여건을 살펴보면 상‧하방 요인이 혼재돼 있는 가운데 하방 요인이 다소 우세한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주택가격을 낮추는 요인으로는 주택가격 고점인식, 금리상승 및 대출규제 강

한국 집값 상승률 7년간 3.9%···53개국 중 34위 그쳐

한국 집값 상승률 7년간 3.9%···53개국 중 34위 그쳐

한국의 실질 주택가격 상승률이 지난해 상반기까지 약 7년간 3.9%로 53개국 중 34위에 머문 것으로 집계됐다. 7일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한국의 실질 주택(주거용 부동산)가격지수는 작년 2분기 103.9로 기준 해인 2010년보다 3.9% 상승했다. 명목 주택가격지수는 117.2로 2010년보다 17.2% 상승했지만, 물가상승분을 제외한 실질 지수는 상승 폭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7년간 실질 주택가격 상승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인도로 75.5%의 상승률을 보였으며 홍콩은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