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2일 목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NCR규제 완화 ‘솔로몬 해법’ 찾나

NCR규제 완화 ‘솔로몬 해법’ 찾나

등록 2013.09.23 07:00

박지은

  기자

공유

당국-업계 비율하향 공감
불합리 계산법 개선해도
120%선 까지는 어려울 듯

자본시장법 개정안이 시행되면서 대형 투자은행(IB) 업무가 핵심 먹거리로 떠올랐지만 영업순자본비율(NCR) 규제 완화가 선행되지 않아 사업진출에 적극적으로 나설 수 없다는 업계의 볼멘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2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현재 금융당국이 제시하고 있는 적기시정조치 기준 NCR은 150%이다.
NCR이란 증권사의 영업용 순자본을 총 위험액으로 나눈 지표를 의미하며 증권업 재무건정성 지표로 활용된다.
증권업계에서는 NCR 기준이 너무 높아 기업 대출에 사용할 수 있는 재원이 사실상 부족하다며 이를 위해 기준 비율을 120%로 낮춰야 한다고 주장한다.
실제 자본시장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 NCR규제로 5대 증권사의 자기자본 총 16조원 중 기업 대출에 활용할 수 있는 재원은 3조원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금융당국의 입장은 다르다. 현재 기준으로 정해놓은 150%를 못 맞추는 증권사가 단 한 곳도 없다는 것이 그 배경이다. 오히려 국내 대형 5개사의 평균 NCR은 533%다.
따라서 금융당국은 NCR 기준 자체를 낮추는 방안보다 NCR 계산 시 불합리한 요소로 지적돼 왔던 것들을 개선한다는데 방점을 두겠다는 방침이다.
따라서 그동안 위험자산으로 분류돼 NCR을 낮췄던 주가연계증권(ELS)와 파생결합증권(DLS) 등과 대출채권 금리 값 등에 대한 부분을 현실화 하는 등을 내용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NCR 기준도 현행 150%보다는 낮출 계획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증권사에서 요구하는 120%까지 낮아질 가능성은 적은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업계에서는 NCR규제를 둘러싼 증권사와 금융당국의 입장 차이는 결국 국민연금 등에서 제시하고 있는 위탁운용사 선정 기준 때문이라며 이에 대한 해결책이 먼저 제시돼야 한다고 지적한다.
한 증권사 연구원은 “국민연금이 위탁운용사를 선정할 때 NCR 기준을 450%로 하고 있다”며 “때문에 증권사들이 금융당국이 제시한 150%보다 훨씬 높은 수준의 NCR을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석훈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금융위에서 먼저 NCR규제를 조금 낮춰주는 식의 시그널을 주면 국민연금 등에서도 관련 기준을 낮출 가능성이 있다”며 “증권사의 평균 NCR이 250% 수준까지만 낮아져도 약 6조원의 투자여력이 늘어나는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박지은 기자 pje88@

뉴스웨이 박지은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