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SK텔레콤 무선 가입 회선 수 39.3%사상 처음 40% 아래로···"해킹 사태 여파"사태 이후 83만 계약 해지···60만명 순감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가 지난 4일 오후 서울 중구 SK텔레콤 본사에서 열린 사이버 침해 사고 관련 기자회견에 앞서 가입자들에게 허리 숙여 대국민 사과를 하고 있다.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
SK텔레콤 가입자 수가 감소한 것은 앞선 해킹 사태로 인한 이용자 신뢰 하락 탓이다. 지난 4월 22일 해킹 사실이 알려진 직후 SK텔레콤 이용자들은 개인정보 유출, 금융 사고 등을 우려해 경쟁사로 빠르게 이동하기 시작했다. 실제 5월 12일까지 SK텔레콤에서 KT로 30만1528명, LG유플러스로 24만6858명이 옮겨갔다. 도합 50만명이 넘는 가입자가 이탈한 것이다.
이런 추이는 최근까지 지속되는 추세다. 5월에는 KT로 옮겨간 SK텔레콤 고객이 19만6685명, LG유플러스로 간 고객이 15만8625명이었다. 6월에는 KT로 8만2043명, LG유플러스로 8만7774명이 이동했다.
SK텔레콤이 이번 달 해킹 사태와 관련해 전 고객 번호이동 위약금을 면제한 만큼, 전월 대비 이탈 규모는 더욱 늘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해킹 이후 SK텔레콤이 번호이동 위약금을 면제한 지난 14일까지 83만5214명이 회사를 떠났다. 전체 가입자는 60만1376명이 순감했다.
앞서 SK텔레콤은 지난 4월 19일 사내 시스템에 대한 해킹 공격을 받은 사실을 파악하고,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피해 사실을 신고했다. 사실이 알려지자 업계 안팎에서 논란이 일었다. 2300만명 가입자를 보유한 국내 최대 이동통신사에서 보안 사고가 발생했다는 점에서 파장이 컸다.
유심 정보 해킹으로 인한 2차 피해 우려도 쏟아졌다. 유심에는 통신 인증과 식별 정보 등이 담겼다는 점에서 최악의 경우 '심 스와핑'(SIM Swapping) 범죄 등이 발생할 수 있다는 주장도 나왔다. 심 스와핑은 타인의 휴대전화 유심 정보를 복사해 개인정보와 금융자산을 털어가는 신종 해킹 수법이다.
가입자 불안감이 확산하자, SK텔레콤은 '유심 무상 교체'와 전 고객 '유심보호서비스' 적용 등 조치를 취했다.
사태 발생 당시 정치권에서는 이번 사태가 SK텔레콤 과실에서 기인한 만큼, 이로 인해 계약을 해지하는 고객의 위약금을 면제해 줘야 한다는 목소리가 컸다.
지난 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SK텔레콤 침해사고 민관합동조사단(이하 조사단)의 조사결과 발표를 통해 회사가 고객들의 위약금을 면제해야 한다고 유권해석했다. 조사단은 SK텔레콤 측이 ▲계정정보 관리 부실 ▲과거 침해사고 대응 미흡 ▲주요 정보 암호화 조치 미흡 등 과실이 있다고 봤다.
당시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번 SK텔레콤 침해사고는 국내 통신 업계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인프라 전반의 정보보호에 경종을 울리는 사고였다"며 "SK텔레콤은 국내 1위 이동통신 사업자로 국민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는 만큼 이번 사고를 계기로 확인된 취약점을 철저히 조치하고 향후 정보보호를 기업 경영의 최우선 순위로 둬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뉴스웨이 강준혁 기자
junhuk210@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