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18일 토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유자전자 교정하는 ‘RNA 유전자가위’ 정확성 높여

유자전자 교정하는 ‘RNA 유전자가위’ 정확성 높여

등록 2013.11.20 12:00

김은경

  기자

공유

자료=미래창조과학부 제공자료=미래창조과학부 제공


국내 연구진이 DNA를 잘라 교정하는 유전자가위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 향후 유전자가위를 이용한 유전자 및 줄기세포 치료의 부작용을 줄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김진수 서울대학교 교수팀이 유전자를 교정하는 RNA 유전자가위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유전자가위(engineered nuclease)란 특정 염기서열을 인식해 절단하거나 교정하도록 고안된 인공제한효소다. 유전자변이 유도 또는 유전자 수선에 사용된다.

RNA 유전자가위는 유전자를 교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원하는 DNA 염기서열 이외 유사한 서열에서도 작용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의도하지 않은 DNA 염기서열을 자르게 되면 세포독성을 일으키거나 원하지 않는 염색체 변이를 유발할 수 있어 유전자가위의 정확성은 임상적 응용을 위한 핵심과제로 꼽힌다.

연구팀은 유사 DNA 염기서열에는 작용하지 않고 표적 DNA 염기서열만을 선택적으로 잘라 교정하는 유전자가위 기술을 개발했다.

또 가이드 RNA의 구조와 전달형태의 정확성을 높였다. 정확성 향상의 핵심은 가이드 RNA의 구조와 전달형태에 있다.

연구팀은 가이드 RNA 앞에 두개의 구아닌 염기를 추가한 경우 표적 염기서열에 대해서는 잘 작용하면서도 유사서열에는 작용하지 못하게 돼 절단의 정확성을 높인 것이다.

한편 연구팀은 제1세대 유전자가위인 징크핑거뉴클리아제(ZFN)를 비롯, 제2세대 탈렌(TALEN), 제3세대 RNA 유전자가위를 개발한데 이어 RNA 유전자가위의 정확성을 높인 것으로 주목받고 있다.

김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기술을 통해 유전학 연구, 유전자 및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 유전자 교정을 통한 고부가가치 농축산물 품종 개량 등에 활용할 수 있어 관련 연구에 활기를 불어넣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번 연구는 유전체 분야 국제학술지 지놈 리서치(Genome Research) 온라인판 11월 20일자에 게재됐다.

◆ RNA 유전자가위란 (RNA-guided engineered nuclease, RGEN) 미생물의 면역체계로 알려진 CRISPR 시스템을 이용해 연구자가 원하는 유전자 염기서열을 절단하도록 고안된 인공제한효소다. 인간 및 동식물 유전자 교정에 사용되는 제3세대 유전자가위다.

◆ 가이드 RNA(guide RNA)란 RNA 유전자가위의 DNA 특이성을 결정하는 작은 RNA 분자다. 가이드 RNA는 Cas9이라는 단백질과 결합해 RNA 유전자가위를 형성한다.

김은경 기자 cr21@

뉴스웨이 김은경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