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에서는 재형저축이 장기가입 상품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상품보다 금리가 크게 높지 않고 소득공제 혜택도 없기 때문에 고객들의 관심이 계속 떨어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2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올해 1월 말까지 펀드 포함 금융권의 재형저축 활동계좌는 175만2297좌로 지난해 12월보다 2만1131좌가 감소했다. 이는 지난해 6월 182만8540좌로 최고점을 찍은 뒤 7개월 째 하락한 수치다.
감소세도 시간이 지날수록 빨라졌다.
지난해 7~8월 1000좌 안팎으로 감소하던 재형저축 계좌는 9월 들어 1만좌로 확대됐고 1월에는 처음으로 2만좌가 줄었다.
시장에서는 재형저축의 인기가 시들해진 가장 큰 이유는 금리 수준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17년 만에 부활한 이번 재형저축은 최고 30%대의 높은 금리가 설정됐던 1980년대와 달리 7년을 묶어둬야 하는 단점을 상쇄할 만큼 금리가 높지 않다는 것이다.
은행별로는 3년간 최고 연 4.2% ~ 4.5% 금리를 적용하고 이후에는 변동 금리로 전환되는 3년 고정금리 상품과 3%대의 7년 고정금리 상품으로 구성돼 있다. 하지만 현재 시중은행에서 3% 후반 대 적금이 판매되는 만큼 7년을 의무적으로 유지해야 하는 재형저축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줄어들 수 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증권사가 판매하는 재형저축 펀드의 수익률도 만족스럽지 못했다.
펀드평가사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68개 재형저축펀드의 평균 수익률은 설정일 이후부터 지난달 27일까지 2.75%에 그쳤다. 수익률이 마이너스인 펀드도 21개에 이르렀다.
이 외에도 전문가들은 소득공제 혜택이 없고 연소득 5000만원 이하 직장인과 종합소득 3500만원 이하 사업자로 가입 대상이 한정된 점도 재형저축 상품 판매가 부진한 이유로 꼽았다.
김민수 기자 hms@
뉴스웨이 김민수 기자
hms@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